대금 배우기 2059

예행 연습

음악회를 한 번씩 해 보면 실력이 많이 향상되는데 그만큼 집중해서 열심히 연습하기 때문이지요. 어지간히 연습해서는 남들 앞에서 대금을 불 수가 없습니다. 악보를 외우라고 하는 것도, 억지로 가락을 외우라는 것이 아니고 수 백, 수 천 번 연습하여 저절로 악보가 머리 속에 떠 오를 정도는 되어야 무대에 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웬만큼 준비가 된 것 같아도 막상 예행연습을 해 보면 평소 연습할 때 잘 안 되던 부분은 그대로 틀리게 되고 외웠다고 생각했던 악보도 잊어버리는가 하면 심지어 잘 나던 소리마저 몸이 굳어 막히게 됩니다. 어지간히 연습해서는 평소 실력의 반도 안 나오므로 연습은 해도 해도 끝이 없는 것이고 완벽한 연주를 위해서는 예행연습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오늘은 초급반이 마지막 연습하..

대금 배우기 2024.01.13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 '갑돌이와 갑순이'를 천천히 불며 점검을 해 보았는데 전체적으로는 박자나 음정이 무난하였으나 간혹 2박과 3박을 혼동하시거나 仲 음정이 낮을 때가 있으므로 너무 숙여 불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네요. 느리게 몇 번 더 불면서 박자와 음정을 교정한 뒤 조금씩 빠르게 바꿔서 원래 속도에 가깝게 끌어올리는 한편 강약을 살려서 흥겨운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고 장구와 함께 굿거리장단에 맞춰 또 몇 번 더 불어 보았습니다. 정악 1반 경기민요 '양산도'는 세마치장단의 흥겨운 노래인데 가락이 꽤 복잡하여 박자가 제법 까다롭고 장식음 부호 '나니나'와 '나느나'의 처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우선 박자를 익히기 위해 좀 천천히 불어 보니 앞부분은 괜챦았으나 중간부터 1/3박이 불안하거나 장식음 부호가 있는 가락이 갑자..

대금 배우기 2024.01.12

대금 수업 안내

기초 과정 = 대금의 구조와 역사 / 소리 내는 법 / 운지법과 자세 / 악보 읽는 법과 연습곡 / 민요 및 간단한 노래 수업 일정 = 매 주 월/목 저녁 2회 수업 월 회 비 = 매 달 6 만 원 플래스틱 대금 및 교재 = 3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수업을 받으실 수 있으며, 수강신청은 수시로 가능합니다 대금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은 강습신청방에 신청글과 연락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중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연습곡 / 국악가요 / 대금 창작곡 / 정악 (여민락, 도드리, 영산회상 등 ) 고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정악 전 바탕 / 대금산조 월회비 = 매 달 6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대금 배우기 2024.01.11

대금 수업 일지

86기반 허리를 펴고 반듯하게 앉아 복식호흡과 취법 연습을 몇 차례 한 다음 대금을 들고 길고 일정하게 부는 연습을 하고 있으니 새로 초급반 수업에 합류하시기로 한 노순안선생님께서 도착하셔서 86기로 입회하고 함께 소리 내는 연습을 해 보았습니다. 잠시 휴식 후에는 왼쪽 어깨에 대금을 올리고 또 몇 번 불어 본 뒤에 첫 번째 지공만 하나 막고 소리를 내 보았는데 아직은 손모양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서 지공이 잘 안 막히다 보니 대금 소리가 시원하게 안 날 때가 있었지만 며칠 동안 운지 연습을 하며 왼손의 모양을 제대로 잡을 수 있게 되면 지공을 한 두 개 막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게 불 수 있게 됩니다. 85기반 아직 운지와 취법이 자유롭지 않아서 소리가 잘 안 날 때가 있기에 연습곡 13번과 14번을 복..

대금 배우기 2024.01.10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 저음의 취법을 연습하기 위해 '꽃분네야'를 해 보니 대체로 저음 소리가 부드럽게 잘 나긴 하였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딱딱하고 끊어질 때가 있으므로 6 째 박의 음들을 한 박에 가깝게 최대한 길게 끌면서 차차 여리게 불어서 뒤의 가락과 연결되는 느낌이 들도록 하시고 '갑돌이와 갑순이'는 장식음 부호 '나니나'가 두 번 나오긴 해도 가락이 그다지 어렵진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박자는 쉬운 곡이지만 후반부에 '겉으로는~~' 하면서 길게 뻗는 부분의 박자가 좀 까다로우니 우선 한 박씩 박자를 세며 천천히 연습을 한 다음 충분히 익숙해지고 나면 조금씩 속도를 빠르게 바꾸면 됩니다. 정악 1반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편안한 선율의 노래 '청산은 깊어 좋아라' 전에도 불어 보았던 곡이지만 이 번엔 음역을 높게 바..

대금 배우기 2024.01.09

곡을 배우고 난 후의 연습

대부분 한 곡을 배우고 나면 그 곡이 끝났다고 생각들 하시겠지만 사실은 그때부터 시작입니다. 예를 들어 '상주 모심기 노래'를 배울 때 먼저 음계에 따라 장식음 처리하는 법을 익히고, 박자 연습을 한 후 정확한 음정을 맞추면서 강약을 조절하여 곡의 느낌을 살리도록 배웁니다. 처음에는 박자도 틀리고 음정도 불안하지만, 하루하루 연습하다 보면 차차 익숙해져서 1~2 주 후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도 안 틀리고 불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대부분 이제 상주 모심기 노래를 끝냈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사실은 겨우 그 곡을 연습할 준비가 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때부터 1천 번, 3천 번을 반복 연습하면서 정확한 가락을 몸에 익히고 올바른 취법으로 좋은 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자기가 원하는 소리를 마음..

대금 배우기 2024.01.08

대금 수업 일지

86기반 먼저 지난 시간에 배웠던 복식호흡부터 다시 연습하고 입술 모양을 납작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소리 내는 연습을 몇 번 해 보니 처음이라 금방 힘들어하시길래 잠시 휴식하며 대금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설명 드리고 나서 다시 대금을 불어 보니 조금씩 취법을 찾아가시더군요. 악기를 배울 때는 예습은 필요 없고, 복습만 충실히 하면 되며 매 시간 배운 것을 며칠 동안 연습해서 제대로 익히기만 하면 됩니다. 이제 소리 내는 것은 웬만큼 익숙해졌으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왼쪽 어깨에 대금을 걸치고 자세를 잡고 또 소리 내는 연습을 하였는데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 상태에서 약간 숙이고 불어야 하기에 양손으로 대금을 받쳐 들고 앞으로 불 때보다는 조금 어려워지므로 그럴 때는 다시 처음에 했던 방법대로 취법을 익힌 ..

대금 배우기 2024.01.07

대금 수업 일지

86기반 첫날이라 저사랑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하고 입회절차를 마친 다음 먼저 대금 소리 내는 방법부터 익히기 위해 양손으로 대금을 받쳐 들고 입술을 '임'을 발음하듯이 당겨서 입김을 얄팍하게 나오도록 한 뒤 길게 몇 번 불어 보니 처음엔 입술 모양을 제대로 잡지 못 하셔서 잘 안 되었지만 금방 요령을 터득하시고 소리를 잘 내시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대금에서 소리 내는 방법과 함께 중요한 것이 복식호흡인데 복식호흡이 안 되면 입김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자꾸 입으로 불게 되어 제대로 된 소리를 만들어 내기 어렵기 때문에 대금을 내려놓고 배를 부풀리며 복식호흡을 익혀 보니 처음 해 보시는 것이라 아직 몸이 잘 따라 주지 않았지만 며칠 동안 꾸준히 연습하시면 곧 익숙해지겠지요. 85기반 연습곡 13번과..

대금 배우기 2024.01.06

1년 대금 수업 계획 - 중급반

82기반 그동안 다양한 곡들을 통해 박자와 음정을 맞추는 연습을 하긴 했지만 아직은 여러 가지 음들의 운지법과 취법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도 쉽지 않고 곡에 따라 박자가 불안정할 때도 종종 있으므로 조금 더 난이도가 높은 곡을 통해 기본기를 확실하게 다져야겠습니다. '꽃분네야'와 '임 찾아 아리랑' '엄마야 누나야 2번'과 같은 곡들은 姑처럼 젖혀 부는 음의 취법을 연습하기 위한 것이고 '누나의 얼굴 2번'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無 연습이며 '에델바이스' '점아 점아 콩점아'에는 夾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세노야' '홀로 아리랑'을 통해 2분박과 3분박의 구분을 하고 나면 1/2박의 박자를 보완하는 곡인 '4월의 노래'에는 반박자와 함께 1/4박과 장식음 부호 '너네'가 있어 꽤 어렵고 '갑돌..

대금 배우기 2024.01.05

1년 대금 수업 계획 - 초급반

86기반 대금을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한 강좌이므로 우선 대금의 역사와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관악기 연주의 가장 기본인 복식호흡법과 소리 내는 방법부터 배운 후 바른 자세와 운지법을 하나씩 단계별로 익힙니다. 매 시간마다 우리음악에서 사용하는 12율과 음계 이론으로 평조와 계면조에 대해 설명 드리고 우리음악의 악보인 정간보 읽는 법을 배우고 나면 연습곡들을 시작하여 운지법과 취법을 본격적으로 익혀서 장래 다양한 곡들을 배우기 위한 기초를 닦고 어느 정도 기본기가 갖춰지면 쉬운 노래부터 하나씩 불어 봅니다. 대금의 연주법을 익히는 한편 틈틈이 정악과 민속악 등 우리 음악의 여러 갈래와 수 십 가지에 달하는 우리 악기들에 대해서도 설명 드리겠습니다. 85기반 연습곡 15번을 좀 더 익힌 후에 16번까지 ..

대금 배우기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