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기반
첫날이라 저사랑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하고 입회절차를 마친 다음
먼저 대금 소리 내는 방법부터 익히기 위해
양손으로 대금을 받쳐 들고 입술을 '임'을 발음하듯이 당겨서
입김을 얄팍하게 나오도록 한 뒤 길게 몇 번 불어 보니
처음엔 입술 모양을 제대로 잡지 못 하셔서 잘 안 되었지만
금방 요령을 터득하시고 소리를 잘 내시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대금에서 소리 내는 방법과 함께 중요한 것이 복식호흡인데
복식호흡이 안 되면 입김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자꾸 입으로 불게 되어 제대로 된 소리를 만들어 내기 어렵기 때문에
대금을 내려놓고 배를 부풀리며 복식호흡을 익혀 보니
처음 해 보시는 것이라 아직 몸이 잘 따라 주지 않았지만
며칠 동안 꾸준히 연습하시면 곧 익숙해지겠지요.
85기반
연습곡 13번과 14번을 복습하며 몸을 풀었는데
아직 지공이 덜 막혀서 대금 소리가 잘 안 나거나
취법이 정확하지 않아 음들의 연결이 끊어질 때가 있어서
부분 연습과 함께 몇 번 반복해서 불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같은 운지법에서도 자세나 취법에 따라
각자 음정이 조금씩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함께 불면서 다른 사람의 대금 소리를 유심히 듣고
수시로 음정을 교정하며 맞추도록 해야 합니다.
앞에서 배운 곡들과 달리 연습곡 15번은 2박과 1박의 조합이라
처음엔 박자를 맞춰 부는 것이 꽤 어렵기 때문에
일단 느린 속도로 천천히 불면서 박자부터 익혀 보았는데
아직은 짧은 한 박의 음들을 제대로 불기 어려우므로
당분간은 최대한 느리게 연습을 많이 해 보시기 바랍니다.
84기반
올해부터 83기반과 84기반이 함께 수업을 하게 되었는데
은지가 아직 새 대금에 적응이 안 되어 지공이 잘 안 막히므로
손선생님과 함께 전에 배웠던 곡들 중에 쉬운 곡들을 복습해 보니
'섬집 아기'에서는 긴 박자의 無은 숙여 부는 취법이 비슷하게 되었지만
無 다음에 이어지는 다른 음들의 음정이 흔들리지 않도록
즉시 원래 취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또 중요합니다.
'가을밤'에도 숙여 불어야 하는 無이 몇 번 나오긴 하지만
그 외에도 1.5박과 0.5박의 정확한 박자와 함께
'혀치기'를 좀 더 분명하게 할 수 있도록 보충 연습을 하시고
'달맞이'는 짧고 간단한 동요이긴 하지만
1/2박이 많아서 박자도 어렵고 짧은 음들의 운지도 쉽지 않으므로
부분 연습을 충분히 한 후 다음 시간에 복습을 해 보겠습니다.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을 배우고 난 후의 연습 (1) | 2024.01.08 |
---|---|
대금 수업 일지 (1) | 2024.01.07 |
1년 대금 수업 계획 - 중급반 (2) | 2024.01.05 |
1년 대금 수업 계획 - 초급반 (2) | 2024.01.04 |
대금 수업 계획 - 중급반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