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기반
허리를 펴고 반듯하게 앉아 복식호흡과 취법 연습을 몇 차례 한 다음
대금을 들고 길고 일정하게 부는 연습을 하고 있으니
새로 초급반 수업에 합류하시기로 한 노순안선생님께서 도착하셔서
86기로 입회하고 함께 소리 내는 연습을 해 보았습니다.
잠시 휴식 후에는 왼쪽 어깨에 대금을 올리고 또 몇 번 불어 본 뒤에
첫 번째 지공만 하나 막고 소리를 내 보았는데
아직은 손모양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서 지공이 잘 안 막히다 보니
대금 소리가 시원하게 안 날 때가 있었지만
며칠 동안 운지 연습을 하며 왼손의 모양을 제대로 잡을 수 있게 되면
지공을 한 두 개 막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게 불 수 있게 됩니다.
85기반
아직 운지와 취법이 자유롭지 않아서 소리가 잘 안 날 때가 있기에
연습곡 13번과 14번을 복습하며 몸을 풀고 나서
15번과 16번을 천천히 몇 번씩 불어 보니
좀 힘들긴 해도 지난 주보다는 꽤 좋아졌길래
강약을 조절하며 곡의 느낌을 표현하는 연습을 해 보았습니다.
리듬은 음악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며
어떤 곡이든지 강약 대비가 없는 경우는 없을 정도로 중요하기에
수 백 번 연습하여 어느 정도 박자와 음정을 맞춰 불 수 있게 되면
그 다음에는 강한 부분과 여린 부분을 대비시켜서
각각의 곡이 가진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또 여러 번 연습해야 하는데
강약 표현 역시 취법의 조절에 의한 것이므로
항상 대금 소리를 잘 듣고 입술과 호흡에 집중하며 연습을 해야 합니다.
84기반
'달맞이'를 복습한 뒤에 '산바람 강바람'까지 조금 불어 보았는데
두 곡 모두 반박자를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가락이 익숙한 곡이다 보니 자칫 너무 빠르게 불기 쉽습니다만
아직은 운지나 취법이 원활하지 않으시므로
최대한 느리게 많이 연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곡이든지 지공이 안 막히고 소리가 안 나면 의미가 없으니
악보에 있는 모든 음들을 깔끔하게 불 수 있도록
처음엔 원래 속도보다 2~3배 느리게 불면서
음 하나 하나를 충실하게 소리 낼 수 있을 만큼 여유 있게 연습한 뒤
웬만큼 익숙해지고 나면 조금씩 속도를 높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