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59

대금 수업 시간표

월 6 : 50 ~ 연습곡 1번 / 2번 정간보 읽는 법 7 : 30 ~ 진주 난봉가 / 꽃분네야 無 운지법과 취법 8 : 10 ~ 고드름 / 오빠 생각 반박자 연습 화 6 : 50 ~ 평조회상 中 상령산 1장 7 : 30 ~ 에델바이스 夾 운지법과 음정 8 : 10 ~ 해령 11장 ~ 16장 목 6 : 50 ~ 연습곡 3번 / 4번 㳞 汰 潢 운지법과 음정 7 : 30 ~ 어머님 말씀 반박자 無 익히기 8 : 10 ~ 가을밤 / 올드 랭 싸인 못갖춘 마디 금 6 : 50 ~ 평조회상 中 상령산 2장 7 : 30 ~ 세노야 / 홀로 아리랑 姑 음정과 3분박 8 : 10 ~ 클레멘타인 / 조각배 고음 취법과 1/4박 연습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

대금 배우기 2024.02.01

어른들이 어린 학생들보다 대금을 배우기 어려운 이유

대금이나 단소를 가르쳐보면 어린 학생들이 어른들보다 더 잘 할 뿐만 아니라 배우는 속도도 훨씬 빠릅니다. 경험 많은 어른들이 어린 학생들보다 오히려 더 못 부는 것은 노화에 따른 신체 능력의 감퇴 때문이라고 다들 생각하고 계실 테지만 그 외에도 어른들이 학생들에 못 미치는 이유가 있습니다. 똑같은 과정을 가르쳐 보면 처음엔 어른들이 더 잘 합니다. 아무래도 아이들은 아직 미성숙한 단계라 이해력과 신체 능력이 부족하니까요. 하지만 조금만 지나면 실력이 역전되고 어린 학생들은 계속 발전하는데 비해 어른들은 정체기가 옵니다. 왜 그럴까요? 어른들이 체격도 크고 폐활량도 많으며 여러 가지 경험도 있으니 미숙한 학생들에 비해 훨씬 잘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오랜 세월 동안 악기를 가르치면서 깨닫게 된 사실은 아이..

대금 배우기 2024.01.31

대금 수업 결산 - 중급반

82기반 '꽃분네야'는 박자 보다 취법과 음정을 익히기 위한 곡으로 그동안 몇 번 접해 보았던 姑이 소리는 잘 났지만 음정이 조금 낮을 때가 있어 최대한 젖혀 부는 연습을 하였으며 저음은 생각보다 소리가 무난하게 잘 났습니다. 반대로 '갑돌이와 갑순이'는 소리 내기 어려운 음은 없지만 장식음 부호의 처리와 박자가 까다로워서 정확한 박자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고 '봄처녀'에 처음 나온 장식음 부호 '니레'는 별로 어렵지 않았던 반면 고음을 가늘게 처리하는 취법이 좀 어려워서 따로 보완하였습니다. '누나의 얼굴'에서는 반박자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한편 곡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도록 해 보았고 '임 찾아 아리랑'은 대체로 박자에 맞게 잘 부셨으나 후반부의 㴌과 㳞 음정이 약간 불안하여 교정을 하고 '홀로..

대금 배우기 2024.01.30

대금 수업 결산 - 초급반

86기반 대금의 구조와 함께 소리가 나는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고 복식호흡부터 시작하여 입 모양과 취법을 익힌 후 길게 소리 내는 연습을 여러 번 해 본 다음 바른 자세를 잡고 지공을 순서대로 하나씩 막으며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취법을 연습하였습니다. 초기에 몇 번의 결석으로 많은 내용을 배우진 못 했지만 틈틈이 이론 수업을 위해 대금의 역사와 우리음악에 쓰이는 12율명을 배우고 평조와 계면조 등 선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85기반 연습곡 15번과 16번까지 불어 보고 노래곡을 시작하였습니다만 15번과 16번이 조금 어려워서 아직 제대로 소화하진 못 했기에 당분간 노래들과 병행하여 보완을 해 보아야겠네요. 첫 곡으로 배운 '반달'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선율이라 박자는 크게 어려울 것이 없었지만 아직 ..

대금 배우기 2024.01.29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 지난 시간에 조금 불어 보았던 '홀로 아리랑'을 복습해 보니 역시 박자가 까다로운 전주 부분이 잘 안 되어 느리게 몇 번 더 고쳐 불며 보완하고 나서 1절과 후렴까지 쭉 이어서 또 불어 보았는데 대체로 박자는 무난하게 소화하였지만 南를 불 때 불필요한 힘이 들어갈 때가 있고 간혹 仲 음정이 조금씩 불안정하므로 취법에 신경을 써서 연습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더불어 저음 黃이나 林에서 潢으로 연결될 때 재빨리 입술의 틈을 얄팍하게 바꾸는 연습도 하시기 바랍니다. '엄마야 누나야'는 㴌 음정을 익히기 위한 곡인데 둘째 각과 셋째 각의 가락이 좀 어려우니 㳞와 㴌이 연결되는 부분을 집중 연습하셔야 될 겁니다. 정악 1반 '얼굴'에는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浹 應 㶋 洟 등의 음들이 나오는데 최대한 숙여 ..

대금 배우기 2024.01.28

대금 강습

기초 과정 = 대금의 구조와 역사 / 소리 내는 법 / 운지법과 자세 / 악보 읽는 법과 연습곡 / 민요 및 간단한 노래 수업 일정 = 매 주 월/목 저녁 2회 수업 월 회 비 = 매 달 6 만 원 플래스틱 대금 및 교재 = 3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수업을 받으실 수 있으며, 수강신청은 수시로 가능합니다 대금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은 강습신청방에 신청글과 연락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중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연습곡 / 국악가요 / 대금 창작곡 / 정악 (여민락, 도드리, 영산회상 등 ) 고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 정악 전 바탕 매 주 수요일 저녁 - 대금산조 월회비 = 매 달 6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

대금 배우기 2024.01.27

대금 수업 일지

86기반 서양음악은 한 옥타브에 12개의 음을 사용하고 우리음악에도 12개의 음이 있어 갯수는 동일하지만 기준음의 높이나 음들 간의 간격이 전혀 다릅니다. 우리음악에서 첫 음은 황종이고 다음은 대려이며, 태주, 협종.... 등의 순서로 이어져 마지막 음은 응종이 되는데 대금이든 피아노든 음악을 배울 때 음계를 익히는 것은 영어를 배울 때 알파벳부터 배우는 것만큼 기본적인 것이니 상행과 하행에 따른 순서대로 외우는 것은 물론이고 각 음들 간의 간격을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黃과 太는 가까운 음이지만 太와 林 사이에는 많은 음들이 있어 음역이 넓으므로 각각의 음들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나중에 제대로 취법을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85기반 '반달'을 다시 불어 보니 지난 시간보다는 대금 소리가 ..

대금 배우기 2024.01.26

저취-평취-역취

대금의 취법에는 3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부드럽게 부는 저취와 보통으로 부는 평취, 그리고 강하게 부는 역취인데 사실 정확한 용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2 옥타브 반에 이르는 넓은 음역에 수 십 개에 달하는 음들의 취법이 겨우 3 단계로 분류할 만큼 그렇게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며 저취, 평취, 역취는 취법이라기 보다는 음역을 구분 짓는 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취의 경우 㑣에서 仲까지를 말하고 평취는 林부터 㳞까지, 역취는 淋에서 㶂까지라고 하는데 평취의 음역이라고 해서 林부터 㳞까지를 모두 같은 강도로 불어서는 안 됩니다. 저취와 역취도 마찬가지여서 비슷하게 불면서 운지법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음에 따라 입술을 조절하여 입김의 속도를 맞추어야 합니다. 즉, 林보다는 南의 입김이..

대금 배우기 2024.01.25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 '임 찾아 아리랑'의 박자가 많이 익숙해졌기에 속도를 높여서 곡의 느낌을 살려가며 불어 보았는데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잘 소화하시긴 하였지만 후반부에 나오는 㴌의 음정이 낮으므로 최대한 젖혀서 부셔야겠고 선율의 뒷부분이 강해질 때가 있으니 주의하셔야겠네요. 특히 南나 仲를 불 때 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불필요한 힘을 주게 되면 음색이 탁하고 답답해지기도 할뿐더러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으므로 항상 힘을 빼고 부드럽게 부는 것이 좋습니다. '홀로 아리랑'은 박자가 그다지 어려운 곡은 아니지만 전주 부분의 가락이 복잡해서 까다롭기 때문에 처음 시작하는 선율이 쉽다고 빠르게 불면 안 되고 가장 어려운 부분을 소화할 수 있는 속도로 천천히 불어 봐야 합니다. 정악 1반 지난 시간에 했던 '봉선화'를 ..

대금 배우기 2024.01.24

겨울철 대금 연습 / 관리

대나무는 습도나 온도에 따른 수축/팽창률이 크기 때문에 급격한 습도/온도의 변화에 주의해야 하는데 겨울에는 온도가 낮고 건조해서 대금이 상하기 쉽습니다. 공기가 건조할 때는 대금이 말라서 수축하게 되는데 갑자기 연습을 많이 하게 되면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고 안쪽부터 팽창하면서 대금이 갈라질 위험이 있고 추운 날씨에는 체온과의 온도차가 매우 커서 차가운 대금에 따뜻한 입김이 들어가면 안과 밖의 온도차로 인해 대금이 갈라질 수 있습니다. 물론 따뜻한 집에서만 연습하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겨울철에 연습실에 대금을 보관하거나 수업이 있는 날 장시간 이동을 하다 보면 대금의 온도가 아주 낮게 내려가는데 차가운 대금을 갑자기 불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손으로 주무르고 입김을 조금씩 불어넣으며 대금 내부의 습도와..

대금 배우기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