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58

9월의 국악인 - 장사훈(張師勛)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생몰연대 1916 ~ 1991출 생 지 경북 영주전문분야 국악학인물정보- 1916 경상북도 영주군 이산면 운문리 출생- 1921 6세까지 할아버지로부터 한문 공부- 1922 이산 공립보통학교 입학. 1년 만에 자퇴 후          다시 할아버지께 한문 수학- 1927 보인 보통학교 3학년 편입- 1931 청운 보통학교로 전학 후 졸업          이왕직아악부 양성소 제4기생 입학(거문고전공)- 1936 양성소 졸업 후 아악부의 아악수로 재직- 1945 군정청 문교부 편수국 편수관으로 재직- 1947 공보부 방송국 연출과 음악계로 전출          중앙방송국 전속 조선음악회 발족- 1948 한국국악학회 발족- 1951~1953 합동통신사의 편집부 근무 및        ..

대금 배우기 2024.09.02

대금 수업 시간표

월6 : 50 ~연습곡 1번 2번숨표와 쉼표의 차이7 : 30 ~개구리 소리굿거리 장단8 : 10 ~그 집 앞無 㴌 취법과 음정화6 : 50 ~평조회상 中 상현도드리7 : 30 ~애국가고음 취법과 음정8 : 10 ~평조회상 中 세령산목6 : 50 ~연습곡 3번 4번우리음악의 분류7 : 30 ~고요한 밤 거룩한 밤淋 湳 潕 취법과 음정8 : 10 ~오빠 생각潕 운지법과 취법금6 : 50 ~평조회상 中 염불도드리7 : 30 ~봉숭아夾 취법과 반박자8 : 10 ~평조회상 中 가락덜이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

대금 배우기 2024.09.01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임 찾아 아리랑'을 느리게 불면서 취법 연습에 집중해 보았습니다.林-汰나 汰-淋처럼 음들의 간격이 넓은 곳이 있고후반부에 음역이 상승하는 가락을 불 때는고음 潕 湳 淋 소리나 음정을 정확하게 불기가 힘든데이렇게 다양한 음들을 골고루 잘 불기 위해서는저음이든 고음이든 취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입술에 힘이 들어가서 굳어지게 되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으니평소에 길게 부는 연습을 하며 입으로 부는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정악 2반지난 시간에 이어 '세령산' 3장과 4장까지 불어 보니1장이나 2장에서 여러 번 접해 본 가락들이 많아서처음보다는 좀 수월하게 불 수 있었지만간혹 짧은 음이나 복잡한 가락에서 박자가 약간씩 안 맞을 때가 있으므로1/3박과 1/6박을 구분하는데 집중하셔야겠는데..

대금 배우기 2024.08.31

악보 외우는 방법

연주 날짜가 다가오면서 슬슬 악보를 외우라는 말들이 들리기 시작합니다.어떤 곡이건 연습하고 감상할 때는 좋은데, 막상 외우려고 들면 끔찍하지요.특히 긴 곡이거나 날짜가 촉박할 때는 부담이 많이 됩니다.그러면, 악보를 보고 하면 편할 텐데 왜 굳이 외워서 연주하라고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첫째,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게 되면 악보에 얽매이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실은 자유로운 연주가 안 되기 때문입니다.거의 다 암보할 정도로 연습을 많이 한 곡이라도 악보를 펴 놓게 되면 눈이 계속 악보로만 가게 되어, 자신의 느낌을 살리면서 머리속으로 그림을 그려 낼 여유가 없지요. 또 한 가지, 학생들이나 특히 취미로 음악을 하는 분들에게 악보를 외우도록 권하는 것은 그만큼 연습을 더 하라는 뜻도 있습니다.아무래도 악보를..

대금 배우기 2024.08.30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우리음악의 악보인 '정간보'를 읽는 법을 배우고 난 다음에연습곡 1번을 시작하여 조금 불어 보았는데음의 높낮이가 한눈에 들어오는 대신박자를 금방 알기 어려운 서양의 '오선보'와 달리'정간보'는 박자를 파악하기가 매우 쉬운 반면각각의 음 높이를 모르는 분들은 가락의 흐름을 알기 어렵습니다.연습곡 1번은 㳞와 汰, 두 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곡으로앞으로 다양한 곡을 배우기 위해 소리 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최대한 느리게 불면서 대금 소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시면 됩니다.    85기반'누나의 얼굴'은 無이나 㴌 등의 음이 안 나와서반박자만 좀 맞추면 쉽게 불 수 있을 것 같지만하루 이틀 사흘.... 연습하면 할수록 차차 어려운 곡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반박이 많이 나와도 규..

대금 배우기 2024.08.29

전설따라 삼천리 < 제 3 탄 > - 명창 이날치

명창 이날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줄타기 광대였습니다. 아마도 날랜 몸놀림으로 해서 '날치'라는 예명(?)이 붙었겠지요. 이날치는 줄타기 외에 음악에도 재능이 많아서 종종 판소리 명창들의 공연에 북을 치기도 하였습니다. (예전 사당패 등의 공연에는 여러 가지 재주 놀음과 더불어 음악 공연이 이어졌고, 마지막으로 판소리 한 바탕씩 하곤 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무슨 사정에서인지 고수가 오지 못하게 되어 역시 이날치가 소리판의 북을 잡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날, 이날치가 명창의 반주를 맡게 된 부담감 때문인지 공연을 하던 도중 그만 장단을 삐게 되었습니다. 격분한 소리꾼은 북채를 빼앗아 이날치의 눈을 찔러 버리고 말았던 것입니다.  당시는 소리꾼의 인기는 대단한 반면(요즘 인기 가수처럼..

대금 배우기 2024.08.28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누나의 얼굴 3번'은 음역을 높여서 조옮김한 것으로박자는 1번이나 2번을 통해 파악하였기에㴌의 취법과 함께 고음을 주로 연습하면 됩니다.그동안 다양한 곡들을 통해 고음의 취법을 익히긴 하였으나아직 고음이 마음대로 소리가 안 나서 힘을 주며 강하게 불 때가 있는데서정적인 가락인 만큼 고음이라도 부드럽게 처리해야 하므로최대한 입김을 가늘게 부는 연습을 많이 하는 한편南-㴌이나 汰-湳처럼 음역이 넓은 부분을 정확하게 연결하는 연습과淋-㴌 부분의 취법을 꾸준히 연습해야 합니다.    정악 2반'세령산' 2장의 난이도는 1장과 큰 차이가 없기에1장을 연습하던 속도대로 쭉 불어 보았는데아직은 1/6박이나 1/9박의 처리가 미숙할 때가 있으므로1/3박을 정확하게 세면서 부는 연습을 더 하셔야겠네요.다음 3장..

대금 배우기 2024.08.27

대금에 관한 전설 <2 탄> - 대금 명인 [박 연]

박연은 조선 초기 문신으로 세종과 세조를 도와 아악을 정비한 음악행정가입니다. 아호는 난계(蘭溪), 세종의 뜻을 받들어 음정의 기본 높이를 정하는 율관을 만들고 여기에 의거 편종과 편경을 제작하였습니다. 악보를 편찬하고 궁중음악을 집대성해서 개혁, 정리하여 우리 음악사에서 우륵과 더불어 악성(樂聖)으로 추앙받는 분이지요. 그는 일찌기 예악에 뜻을 두어 널리 서적을 읽었으며, 어려서부터 항상 가슴에 손을 대어 박자를 맞추고 휘파람을 불어 음악소리를 내었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박연은 관습도감(慣習都監)의 제조를 지낸 음악 행정가이면서, 대금을 잘 불었고, 금(琴)과 슬(瑟)에도 능통하였다 합니다. 그의 고향인 충북 영동에서는 난계 국악당을 짓고 해마다 난계 예술제를 개최하며, 저서에는 난계 유고집이 있습니..

대금 배우기 2024.08.26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지난 시간에 우리음악의 '12 율명'에 대해 말씀 드렸는데서양음악이든 우리음악이든 12 개의 음을 항상 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서양음악에서는 12 개 중에 7 개를 추려서 음계를 만들고우리음악은 12 개 가운데 5 개를 선별하여 음계를 조직하며음계를 만드는 방식을 '선법'이라 하고, 그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지게 됩니다.서양음악에는 반음의 위치에 따라 '장조'와 '단조' 두 가지 음계가 있고우리음악에는 기음으로부터의 간격에 의해 '평조'와 '계면조' 두 가지가 있는데'평조'는 태평세월처럼 편안한 느낌이고 '계면조'는 매우 슬픈 느낌의 곡이며'계면조'의 곡이 더 많긴 하지만 좀 어렵기 때문에처음에는 '평조' 음계의 곡부터 익히게 됩니다.    85기반지난 시간에 했던 '가을'을 복습하며젖혀 부는 ..

대금 배우기 2024.08.25

대금에 관한 전설

백여 년 전 대금잽이 중에 정약대라는 어른이 계셨습니다. 이 어른은 대금의 명인으로 이름을 떨치기도 했지만 다음과 같은 전설로도 유명합니다.정약대는 헌종, 고종 무렵의 궁정악사로 불세출의 대금 고수였습니다. 그 분은 수련시절 특이한 방법으로 음악을 연마했는데, 날마다 새벽이면 인왕산에 올라 하루 종일 대금을 불고 저녁이 되어서야 하산하였던 것입니다. 그 때 연습하였던 곡은 [도드리(수연장지곡)]라는 곡으로 대금의 기초를 익히고 나면 처음 배우는 곡입니다. '수연장지곡'이라는 아명으로 더 알려진 '도드리'곡을 한 바탕 불면 8 분 정도가 걸립니다.선생은 '도드리'를 한 번 불 때마다 벗어 놓은 나막신에 작은 돌멩이 하나를 집어 넣기를 수 없이 반복하여 저녁 때 나막신에 돌멩이가 가득 차면 하산하였다 합니다..

대금 배우기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