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58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성주풀이'는 굿거리 장단의 노래라서3 정간을 하나로 묶어서 보며 불 수 있어야 하지만아직 박자가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한 박씩 박자를 세면서 정확하게 불 수 있도록 해 보았는데전반적으로 크게 어렵지는 않기에 금방 맞출 수 있으나후반부에 짧은 박자가 나오는 부분이 잘 안 되어재빠르게 숨을 쉬는 연습과 함께 여러 번 반복해 보았습니다.    정악 2반어린 시절에 '몽금포 타령'을 불러 본 기억이 있기 때문에처음엔 다들 쉬운 곡이라고 생각하시지만막상 대금으로 불어 보면 생각보다 박자가 어렵습니다.특히 앞부분에서 3/4박이 나오는 가락을 틀리기 쉬우므로좀 느린 속도로 부분 연습을 먼저 하고 난 뒤에처음부터 끝까지 쭉 불면서 점검을 하였는데아직 몇 군데 불안한 부분이 있으니 따로 보완하시기 바랍니다..

대금 배우기 2024.08.12

대금의 정확한 음정 내기

대금에는 6 개의 지공이 있습니다.이 6 개의 지공만으로 2 옥타브 반에 이르는 여러 음들을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에불가피하게 젖히거나 숙여 불어서 음정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그러지 않고 단순히 지공만 여닫으며 불면 음정이 맞지 않아서 음치의 노래가 됩니다.)우리 음악에는 평조와 계면조가 있고, 이론상으로는 12 율에 따른 많은 調를 만들어 낼 수가 있겠습니다만,악기 연주상의 제약 등의 문제로 실제 연주에 쓰이는 조는 몇 가지 안 됩니다.그리하여 대금에서 주로 쓰이는 음들은저취 - 㑣 㑲 㒇 (㒣) 黃 太 夾 姑 仲평취 - 林 南 無 (應) 潢 汰 浹 㴌 㳞역취 - 淋 湳 潕 (㶐) 㶂 (㳲)정도입니다.그러나 대금의 6 개 지공만으로는 모든 음들을 정확하게 연주할 수가 없기에꽤 많은 음에서 ..

대금 배우기 2024.08.11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대금을 연주하는 바른 자세와 함께 길게 소리 내는 연습을 하였으나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에겐 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힘들어도 바른 자세를 익히도록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자세가 나쁘면 겉으로 보기에 안 좋은 면도 있지만그보다는 입김을 대금에 충분히 불어넣지 못 해서제대로 된 소리가 안 나고 정확한 음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인 취법과 자세를 어느 정도 익히고 나면맨 위의 지공부터 하나씩 순서대로 막으며 소리 내는 연습을 시작하는데지공을 막기 시작하면 관의 길이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소리 나는 음도 변하기에각각의 음에 꼭 맞는 입김을 찾아야 제대로 소리가 나므로여러 번 반복 연습하며 정확한 취법을 몸에 익히시는 것이 좋습니다.    85기반지난 시간에 조금 익혀 보았던 '가을..

대금 배우기 2024.08.10

대금 요성 하는 법

우리음악을 배우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부딪치는 어려움 중의 하나가 "요성"입니다.현악이든 관악이든 요성(농음)이 제대로 안되면 맛이 나질 않지요.대금에 있어서 요성은 기본적으로 왼팔로 하시면 됩니다.어깨와 손목에 힘을 빼고 왼팔을 위아래로 조금씩 움직이면 떨리는 소리가 나지요.그런데, 연주자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는 있어서 서용석 선생님은 오른팔로 하는가 하면, 김동표 선생님은 머리로 합니다.(서양음악의 경우에도 아이작스턴이 말하길, 자신은 야샤 하이페츠의 비브라토를 흉내 낼 수가 없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했는데, 이는 비브라토의 방법에 대한 이야기인지, 그 소리에 대한 이야기인지 명확하진 않지만 최소한 바이브레이션의 다양함을 말해주는 것은 분명합니다.)하지만, 대다수의 연주자들이 쓰는 방법은 역시..

대금 배우기 2024.08.09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복식호흡을 꾸준히 연습하시면서 많이 익숙해지셨고대금 소리도 곧잘 나시길래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바른 자세를 취하며 길게 부는 연습을 해 보았습니다.왼쪽 어깨에 대금을 걸치고 수평으로 든 다음지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길고 일정하게 부시면 되는데배를 이용한 복식호흡과 입술의 움직임에 집중하셔서최대한 크게 울리면서도 깨끗한 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85기반'가을밤'은 㴌의 음정과 취법을 연습하기 위한 곡인데앞서 '고향 생각'이나 '따오기' 등의 노래들을 통해젖혀 부는 취법을 웬만큼 익혔다고 해도'가을밤'에는 㴌이 훨씬 자주 등장하는 데다淋과 섞여서 나올 때는 더욱 까다롭기 때문에淋-㴌을 연결해서 부는 취법을 집중 연습하시는 한편8번째 정간에서 숨을 쉴 때 너무 끊어지지 않도록힘을 빼고 길..

대금 배우기 2024.08.08

Re: 쌍골죽 대금은

대금을 제작할 때 쌍골죽을 사용하는 이유는재질이 단단해서 소리가 좋다거나 특별한 음색을 지녀서라기 보다는살이 두꺼워서 내경을 일정하게 뚫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봐야 합니다.보통의 대에 비해 쌍골죽은 섬유질이 매우 불균일하고 성글게 분포되어 있는데그렇기 때문에 울림이 좋지 못합니다.일반적인 대는 쉽게 소리가 나면서도 음색이 부드러운데쌍골죽은 대체로 거칠고 카랑카랑한 쇳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간혹 쌍골죽으로 단소를 만들기도 하는데쌍골죽 단소 중에는 고음이 제대로 안 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하지만 보통 대는 살이 매우 얇아서 내경이 아주 클 수밖에 없는데밑동 쪽은 그나마 내경이 대금 제작에 필요한 정도가 되지만조금만 올라가도 구멍이 너무 커서 도저히 음정을 맞출 수가 없습니다.대금은 국악기 중에서 음역..

대금 배우기 2024.08.07

Re: 대금 청공의 위치

청공은 맑을 淸자를 쓰지만 음색을 맑게 한다고 보기는 어렵고막이 떨리는 소리가 더해지면서 느낌을 고조시키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따라서 청의 역할은 음색이나 강약에 변화를 주는 것이지,음정과는 무관한 것으로 음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간혹 청소리 때문에 음정이 다르게 느껴진다는 분들이 계신데, 잘못 생각하시는 것입니다. 몇 년 전에도 청공의 위치에 대한 질문에 답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만,청공이 언제부터 대금에 생겼는지는 알 수 없는데조선 성종 때 악학궤범에 보면 청공이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최소한 조선시대부터는 대금에 청공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악학궤범의 도해에 따른 청공의 위치와현재 정악대금의 청공의 크기나 위치는 조금 차이가 있는데,청의 떨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금 배우기 2024.08.05

대금 수업 일지

정악 2반'삶과 죽음'은 가락이 단순하여 일견 쉬워 보이지만오히려 이런 곡들일수록 표현력에 따라 곡의 느낌에 많은 차이가 있기에악상기호는 물론 악보에 표기되지 않은 부분까지도 살려서 전달할 수 있도록대금 소리의 변화를 느끼며 취법에 집중하셔야 되는데'삶과 죽음'에는 음을 차차 낮춰 부는 '흘림표'가 여러 번 나와서이제부터 흘리는 취법을 본격적으로 익히려고 했더니'흘림표'에 신경을 쓰시느라 박자를 놓치는 분들이 계시네요.가장 기본이 되는 박자와 음정이 정확하지 않으면아무리 좋은 음색과 다양한 표현력을 구사해도 의미가 없으므로당분간 박자에 좀 더 치중하며 연습하셔야겠습니다.    정악 1반'그리움'은 가락이 무난하고 박자가 쉬운 곡임에도흘리는 표현과 밀어 올리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다 보니의외로 박자가 조금씩..

대금 배우기 2024.08.04

8월의 국악인 - 이동백(李東伯)

이동백(李東伯)생몰연대 1866 ~ 1950출 생 지 충남 서천전문분야 명창인물정보- 1866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도만리에서 출생- 1878 13세 때 김정근에게 판소리 사사- 1885 서천에 있는 호리산에 들어가 독공- 1990 서울에서 본격적으로 활동          김창환, 송만갑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원형극장인 원각사에서 창극 공연- 1915 경성구파배우조합의 일원으로 소리활동- 1933 송만갑, 정정렬 등과 함께          조선성악연구회 조직하여 창극의 정립과          체계적인 판소리 교육에 힘씀.- 1939 30일 이틀 동안 경성 부민관에서          은퇴기념 음악회 개최- 1950 경기도 평택군 송탄면 칠원리 자택에서 작고◎출생 및 음악활동충청남도 서천..

대금 배우기 2024.08.02

대금 수업 시간표

월6 : 50 ~대금의 역사와 구조복식호흡 / 소리 내는 방법7 : 30 ~기다리는 마음淋 湳 취법과 음정8 : 10 ~가을밤 / 가을姑 취법과 음정화6 : 50 ~그리움흘림과 밀어 올림7 : 30 ~성주풀이굿거리 장단8 : 10 ~삶과 죽음흘림표와 액센트목6 : 50 ~바른 자세와 운지법12율명 / 평조와 계면조7 : 30 ~고향의 봄無 姑 취법과 음정8 : 10 ~누나의 얼굴반박자 연습금6 : 50 ~축제흘림과 밀어 올림7 : 30 ~뱃노래흘리는 표현8 : 10 ~몽금포 타령3/4박자 연습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

대금 배우기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