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58

대금 속 물기 제거

인터넷을 돌며 대금에 관한 것이 뭐 좀 없나 하고 찾다 보니 뜻밖에도    민족사관학교 재학생인 표준범군이 대나무의 물 흡수, 발산에 관해 실험을 한 것이 있더군요.    표군은 어릴 때 클라리넷을 배웠고 지금은 대금을 배우고 있는데    클라리넷을 배울 땐 연습 후 꼭 악기 속의 물기를 제거하고 보관하였지만,    대금을 연습한 후에는 그대로 악기집에 넣는 것을 보고 처음엔 놀랐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혹시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군요.     처음 이 동영상을 보았을 때 상당히 참신한 아이디어라고 생각도 했지만,    학생이 잘못 알고 있는 점이 있기에 그대로 두어서는 안 될 것 같아서 토를 달아봅니다.    (그 학생의 이메일 주소를 찾아보았지만 나와 있..

대금 배우기 2024.09.24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가을밤'의 각 파트별 악보를 하나씩 따로 익힌 다음성부를 나눠서 3중주를 해 보았습니다.'가을밤'은 후반부에서만 조금 참여하는 4번을 제외하면1번~3번 대금이 번갈아 주선율과 화음을 담당하기에각 파트의 가락이 모두 달라서 처음엔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가락에 따라 조금씩 실수가 있긴 해도생각보다 무난하게 잘 맞춰서 불었습니다.중주곡을 불어 보면 우리음악에 부족한 화음을 많이 느낄 수 있지만그러기 위해서는 음정을 정확하게 불어야 하며각자 맡은 파트의 가락은 물론다른 사람의 대금 소리도 함께 들으면서 불 수 있어야 합니다.    정악 2반'세령산'을 시작한 지 꽤 되었고 가락도 웬만큼 익혔기에1장부터 4장까지 복습을 하며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하도록 하였는데이제 전체적으로 박자는 많이 좋아졌지만간혹 ..

대금 배우기 2024.09.23

지도대국

바둑이나 장기에는 지도대국이라는 것이 있습니다.보통은 자기와 비슷한 실력을 가진 사람들과 겨루지만, 실력차가 날 때에는 바둑의 경우 치석을 놓고, 장기에서는 몇 개의 기물을 제한 뒤 두게 됩니다.하지만 그 경우에도 서로 승패를 가리기 위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만, 지도대국일 때에는 승패를 떠나 '배움'의 의미가 더 큽니다. 지도대국이라고 하는 것은 프로기사나 아마추어 고수들을 모시고 두는데, 평소에는 감히 그런 고수들과 대국을 할 수 없지요. 물론 여건이 맞는다면 고수들에게 따로 수업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어쩌다 고수와 한 판 두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배우게 됩니다.대국 중에는 서로 말을 하지 않지만, 바둑을 가리켜 '수담(手談)'이라고 하는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운석 하나하나에서도 상대의 생각이나 ..

대금 배우기 2024.09.22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이제 연습곡 1번과 2번은 박자를 맞춰 불 수 있게 되셨지만2번은 쉼표가 없어 짧게 숨만 쉬고 연결하는 것이 좀 어려우니'숨표'를 정확하게 지킬 수 있도록 연습해 보시고연습곡 3번은 첫 째 각과 둘째 각은 쉬운 반면마지막 셋째 각에서 㳞와 汰를 이어 부는 것이 까다로운데㳞를 불다가 汰로 넘어가면 지공 두 개를 막는 동시에입김의 속도가 汰에 맞게 느려져야 하므로입술에 힘을 빼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각각의 음에 따른 운지법 보다 입김의 속도를 맞추는 것이 훨씬 어려우니여러 번 반복 연습하며 몸에 익히시는 것이 좋습니다.    85기반'봄처녀'를 복습해 보니 아직 박자가 조금씩 안 맞는 부분이 있었는데대부분 1.5박과 반박자가 이어지는 가락에서속도가 느려졌다 빨라졌다 하며 틀리므로반..

대금 배우기 2024.09.21

대금 불 때 목에서 나는 소리

대금이나 피리 등의 관악기를 불다 보면 목에서 소리가 날 때가 있습니다.어떨 때는 '욱, 욱' 하고 들리기도 하고 '윽 ~'하면서 길게 나기도 합니다.대부분 자신이 의도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소리가 나서 당황하기도 하고, 누군가 듣기 싫다며 지적이라도 하게 되면 주눅이 들어서 연주에 힘이 없어집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그런 습관이 생기므로 본인은 잘 모르는 경우도 있고, 어렴풋하게 짐작만 할 뿐 왜 그런 현상이 생기는지 몰라서 답답하기도 하지요.복식호흡에 의해 밀려 나오는 날숨이 목과 입을 통해 자연스럽게 악기로 흘러가야 하는데, 이 때 목이 열려 있지 않아서 성대를 진동시키게 되면 소리가 나게 되는 것 같습니다.제가 그동안 주변에서 보고 경험한 바에 의하면 목에서 소리가 나는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는..

대금 배우기 2024.09.20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4중주로 편곡된 '가을밤'을 연습하기 시작하였습니다.1번부터 4번까지 모두 네 개의 성부로 나눠졌는데마지막에 잠깐 나오는 4번 대금의 역할은 미미하고대부분의 가락이 1번과 2번, 3번 대금으로 이루어졌습니다.1번 대금이 주선율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각 파트가 번갈아 주선율을 조금씩 나눠서 불게 되어 있고성부마다 화음을 담당하는 부분도 있어 가락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우선 1번 대금부터 한 성부씩 익혀 보기로 하였는데대체로 가락이 무난하고 박자도 아주 쉽지만그동안 많이 접해 보지 못했던 浹이 나오는 부분이 조금 까다롭습니다.    정악 2반정악곡들은 지금까지 배운 곡들에 비해 가락이 복잡하고 어려워서박자와 음정을 웬만큼 익혀서 악보를 파악하고 나면가락의 흐름에 따라 강약을 조절하며 곡의 느낌을..

대금 배우기 2024.09.19

음악학자 정약용

에서 저에게 보낸 메일 중에우리음악에 관련된 것이 있어 소개합니다.   다산의 《악경》 복원과 고악의 회복 김 세 종 (다산연구소장)     다산의 학문은 참 넓고도 깊다. 인문학 자연과학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학문분야를 넘나들고 있다. 그의 시문과 책 속에는 당쟁시대 권력에 눈멀어 백성들의 곤궁한 살림은 아랑곳하지 않던 시절, 성인의 글을 근본 바탕으로 삼고 현인의 글을 거울삼아 경전을 재해석하고, 사회적 문제점을 조목조목 진단하며, 해결방책을 열거한 대목에서는 그저 경외감이 들 뿐이다. 하지만 그가 음악에 밝은 음악학자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다산은 요·순(堯·舜)시절의 음악에 밝은 음악학자였다    다산은 요·순(堯·舜)시절 음악의 중요성과 효용성을 밝힌 짤막한 논문 형식의 〈악론(樂論..

대금 배우기 2024.09.18

대금 불 때 호흡법

===  호흡법에 대해 알려 달라는 의견이 있어서 전에 '갈차줘요' 게시판에 썼던 글을 옮겨 왔습니다. ===  대금을 배울 때 호흡법이나 호흡량에 대한 고민은 누구나 한 번씩 겪는 것일 겁니다.초보자일 경우 복식호흡이 잘 되지 않고, 입김이 불안정해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어느 정도 배운 뒤에도 남들보다 폐활량이 작은 듯해서 고민이고, 힘차고 박력 있는 소리가 안 나서 기가 죽고, 저음에서 부드러우면서도 굵은 소리가 안 나서 답답함을 느끼실 것입니다.아시다시피 악기나 성악이나 모두 복식호흡을 합니다.복식호흡이라고는 하지만 배로 숨을 쉴 수는 없고, 단지 아랫배를 부풀리고 줄임에 따라 횡격막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폐로 공기가 드나들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요. 예외적인 몇 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사람..

대금 배우기 2024.09.16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한음씩 길게 부는 연습을 하고 나서 연습곡 1번과 2번을 다시 불어 보니이제 지공도 막히고 대금 소리도 나긴 하지만두 곡 모두 박자가 좀 안 맞았습니다.1번의 경우 5 박을 끝까지 불고 나서 6 째 박은 쉬어야 하는데4 박 반을 불거나 5 박 반을 불 때가 많아서한 박, 한 박, 박자를 세며 부는 연습을 한 뒤연습곡 3번으로 넘어가서 㳞와 汰를 이어 부는 연습을 하였는데역시 마찬가지로 아직은 박자를 틀리실 때가 있으므로한 박씩 세면서 부는 연습을 많이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85기반먼저 '오빠 생각'부터 복습을 하였는데아직 고음의 취법이 미숙하여 潕 소리가 잘 안 나서몇 번 반복 연습을 하며 가늘게 부는 연습을 하였으나자꾸 힘이 들어가거나 강하게 끊어 부는 경향이 있으니고음을 최대한 가늘고..

대금 배우기 2024.09.15

대금을 잘 불고 싶을수록 즐거움은 줄어든다

대금을 배우는 사람들 누구나 대금을 멋지게 잘 불고 싶은 욕심이 있을 것입니다.명인의 연주를 듣고 있노라면 '나도 한 번 저렇게 불어 봤으면'하는 마음이 저절로 생기지요. 물론 누구든 체계적으로 열심히 연습하면 전문 연주가 못지않게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 수 있습니다.하지만 '체계적으로 열심히'라는 것이 그리 쉽지가 않습니다.매일 몇 시간씩 연습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몇 시간의 연습도 대충 해서는 안 됩니다.우선 연습곡부터 단계적으로 익힌 다음, 정악 한 바탕을 배우고 나면 산조까지 불게 되는데 그냥 배우기만 한다고 해서 잘 불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멋진 가락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수 없이 많은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 어떤 곡이든 적게는 수 백 번에서 수 천 번까지 반복해서 불어야 ..

대금 배우기 202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