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59

대금 수업 일지

85기반지난 시간에 했던 '산바람 강바람'부터 복습해 보니꾸준히 연습을 하셨는지, 전보다는 대금 소리가 잘 나긴 하지만아직 음정이 불안정할 때가 종종 있으므로한 음씩 길고 일정하게 부는 연습을 계속하시고南-潢㳞汰潢~의 선율을 불 때 㳞만 유독 강하게 들리니고음을 너무 강하게 불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겠네요.그리고 셋째 각은 다른 각과 달리 1.5박이 아니라 2박으로 시작하므로정확한 박자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점아 점아 콩점아'는 대부분 잘 모르시는 노래일 텐데반박자가 상당히 많이 나와서 좀 천천히 연습해야 하며반박자 다음에 이어지는 한 박이 빨라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한편南潢南潢南~이 나오는 가락의 취법이 까다로우니그 부분을 따로 연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84기반'반달 2번'을 연습한 지도 꽤 되었..

대금 배우기 2024.04.27

대금 수업 일지

정악 2반이제 '타령' 1장은 웬만큼 연습이 되셨을 듯하여 한 분씩 불어 보니지난 주보다는 가락이 익숙해지긴 하였습니다만아직 1/2박이나 3/4박에서 박자가 조금씩 빨라지는가 하면그다지 어렵지 않은 넷째 각에서 계속 틀리시고'숨표'를 제대로 안 지키실 때가 있으므로 좀 더 악보에 집중하시는 한편항상 호흡을 충분히 준비하셔서 악보에 표기된 대로 한 각씩 부셔야 됩니다.1장을 마친 다음에는 2장을 집중 연습해 보았는데역시 1장과 마찬가지로 박자가 약간 안 맞는 부분이 있었으며南 음정이 대체로 높으니 약간 숙여 불도록 하시고반대로 㳞와 湳는 낮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네요.그리고 2장 중간 부분에 고음에서 저음으로 연결되는 가락이 까다로우니재빨리 입술의 힘을 빼고 부드럽게 부는 연습도 많이 해 보시기 바랍니다.  ..

대금 배우기 2024.04.25

대금의 바른 취법 익히기

요즘 85기반은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을 배우고정악반은 평조회상 중 '중령산'을 암보하고 있는데두 반 모두 당분간 다소 느리게 가더라도취법을 좀 더 보완하는 것이 좋겠네요. 관악기 연주는 당연히 취법이 제일 중요하여대금을 오랜 기간 열심히 연마해도아무리 멋있고 아름다운 곡을 배워도취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좋은 연주를 할 수 없습니다. 음악을 연주할 때는 박자와 음정, 음색은 물론이고강약 조절에 의한 곡의 느낌과 흐름을 표현해야 하는데대금에 있어 박자를 제외한 모든 것이 취법에 의해 좌우됩니다. 정확한 음정을 만들어 내고 유지하려면 바른 취법이 필수이고강약 대비를 위해 입김을 조절하려고 해도 소리가 마음대로 나야 하며취법을 제대로 익혀야 다양한 음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금 배우기 2024.04.24

대금 수업 일지

85기반 준비운동 겸 '달맞이'를 몇 번 불면서 워밍업을 하였는데 몸이 덜 풀렸는지 대금 소리가 잘 안 나서 '혀치기'도 명확하지 않고 박자나 흐름이 잘못된 부분도 있었기에 천천히 반복 연습을 하며 보완을 하고 나서 '산바람 강바람'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산바람 강바람' 역시 어릴 때 즐겁게 부르던 동요이지만 반박자가 굉장히 많이 나와서 생각보다 박자가 어렵기 때문에 우선 원래 속도보다 2배 정도 느리게 연습하였는데 처음엔 박자가 비슷하게 맞다가 가락이 진행될수록 차차 급해지고 속도가 조금씩 빨라져서 제대로 소리가 안 나므로 최대한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연습하시는 한편 중간에 숨을 쉴 때 자칫 강하게 불어서 흐름이 끊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84기반 항상 대금 연습을 시작할 때마다..

대금 배우기 2024.04.23

대금 수업 안내

기초 과정 = 대금의 구조와 역사 / 소리 내는 법 / 운지법과 자세 / 악보 읽는 법과 연습곡 / 민요 및 간단한 노래 수업 일정 = 매 주 월/목 저녁 2회 수업 월 회 비 = 매 달 6 만 원 플래스틱 대금 및 교재 = 3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수업을 받으실 수 있으며, 수강신청은 수시로 가능합니다 대금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은 강습신청방에 신청글과 연락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중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연습곡 / 국악가요 / 대금 창작곡 / 정악 (여민락, 도드리, 영산회상 등 ) 고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 정악 전 바탕 매 주 수요일 저녁 - 대금산조 월회비 = 매 달 6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

대금 배우기 2024.04.22

합창 / 제창

잘 모르시는 분들은 '합창'이나 '제창'이나 여러 사람이 부르는 건 마찬가지 아닌가 하고 생각하실 수 있겠으나 합창은 성부를 나눠서 화음을 이루며 노래하는 것으로 2부 합창, 4부 합창 등 각각의 성부마다 선율이 다르기에 전문 합창단이 식전 행사로 부르는 것이고 제창은 동일한 선율을 여러 사람이 같이 부르는 것을 말하며 전교생 조회 때 다 함께 애국가 제창을 하듯이 수많은 사람이 화음 없이 노래 가락만을 부르므로 주최 측 내빈, 일반 참석자 구분 없이 행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함께 노래합니다. 즉, 초청된 합창단만 무대에서 의식으로 부르느냐 모든 사람이 참여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요. 그런가 하면, 우리 음악에는 합창이 없고 독창이나 제창만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간혹 성부를 나눠서 화음을 이루는 ..

대금 배우기 2024.04.21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 유명한 가곡 '그네'는 가락이 쉬워 보이지만 생각보다는 박자나 표현이 좀 까다로운 곡입니다. '늘임표'가 수시로 등장하여 일정한 박자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뒷부분의 장식음 부호 '나니나'가 포함된 가락에서는 1/6박의 짧은 박자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운지가 쉽지 않으므로 처음엔 원래 속도보다 두 배 정도 느리게 천천히 불면서 정확한 박자와 취법을 익히는데 주력하였는데 夾이나 無을 숙여 부는 취법은 대부분 잘 하셨지만 박자를 정확하게 연주하는 것이 잘 안 되어 몇 번 반복 연습을 한 다음 조금씩 빠르게 속도를 높여 불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액센트의 표현이 아직 밋밋하여 구분이 잘 안 되므로 좀 더 확실하게 들리도록 연습을 해 봐야겠네요. 정악 2반 '타령' 1장을 복습하며 점검해 보았더니 이제..

대금 배우기 2024.04.20

대금 수업 일지

85기반 지난 주에 했던 '가을밤'을 복습해 보니 대체로 전보다 대금 소리가 잘 나긴 하였으나 無을 불 때마다 강하게 힘이 들어가서 흐름이 이상해지므로 최대한 힘을 뺀 채 부드럽게 불도록 하시고 아직 㳞와 같은 고음이 깔끔하게 소리가 안 나고 '혀치기' 역시 명확하지 않으니 보충 연습을 해야겠네요. 그리고 악보에 표기된 대로 8 정간씩 이어서 불어야 하는데 너무 짧게 끊어 불면 노래가 안 되니 항상 호흡을 충분히 준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곡은 어릴 때 배운 동요 '달맞이'인데 반박자가 꽤 많이 나와서 박자가 좀 까다롭고 같은 음이 반복되는 가락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혀치기'를 분명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짤막한 노래이긴 하지만 첫 째 각과 셋째 각은 아주 쉬운 반면 둘째 각에는..

대금 배우기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