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35

Re: 참고하십시오.

반갑습니다.아직 대금을 배우시지는 않은 모양이군요.여러 가지 질문을 한꺼번에 하셨기에 질문에 따라 간략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1. 대금을 배워 기독교 성가대(찬양가)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지요 우리음악과 서양음악은 그 음계나 선법이 다릅니다.비슷한 음도 있지만 전혀 다른 음들도 있지요.그런데 대부분의 성가곡은 서양음계로 만들어져 있기에 대금으로 연주 가능한 곡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서양음악의 여러 음계 중에서 대금으로 불기에 무리가 없는 것은 몇 가지 안 되며, 연주 실력이 좋으면 가능한 곡이 조금 더 많아지긴 하지만, 모든 곡을 할 수는 없습니다.악기에 따라, 예를 들어 해금이나 가야금 같이 음계를 쉽게 바꿀 수 있는 악기들은 훨씬 많은 곡을 할 수 있겠지만, 대금은 여섯 개의 지공만으로 여러 ..

대금 배우기 2025.04.17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지난 주까지 '여민락' 한 바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긴 하였으나악보의 분량이 워낙 많아서 맛보기에 불과했고아직 잘 안 되는 가락이나 생략한 표현들도 있기에1장부터 다시 복습하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나마 1장은 제일 긴 시간 동안 수업을 해서박자나 가락의 처리가 무난한 편이지만미세한 박자나 강약 조절, 흘리는 표현 등이 미흡하고그동안 생략했던 '떠이어'와 같은 장식음도 익혀야 하기에다시 악보를 찬찬히 읽으며 하나씩 연습하셔야겠네요. 이 번에 새로 익혀야 할 장식음은 '떠이어'인데'떠이어'는 정악대금에만 쓰이는 특징적인 주법으로淋을 불기 전에 淋潕를 거쳐서 淋을 소리 내는 '앞꾸밈음'의 일종입니다.대금 정악곡 중에서도 유독 淋에만 나오는 장식음이며대다수 장식음들이 음계에 따라서 차이가..

대금 배우기 2025.04.16

Re: 박자 연습

반갑습니다.대금을 얼마나 배우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어떤 악기를 배우든지 처음에 부딪치는 문제가 음정과 박자입니다. 그 중 음정은 좀 더 어렵기도 할뿐더러 초보자일 때는 잘 알 수가 없어서 의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박자는 누구라도 금방 알 수 있을 만큼 표가 나기 때문에 모두들 처음엔 박자문제로 고민하게 됩니다.다들 알고 있는 '음치'의 경우처럼 음정이 맞지 않으면 우습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박자가 맞지 않으면 제대로 된 음악이 될 수 없기에 '박치'또한 하루빨리 교정해야 하겠지요. 박자를 연마하는 데는 아무래도 연습곡을 많이 부는 것이 좋습니다.처음에 대금을 배우게 되면 하루빨리 멋있는 곡을 불고 싶어서 연습곡은 뒷전이고, 소리만 좀 나면 다들 여기저기서 악보를 구해 불어 보곤 하는데, 그것은..

대금 배우기 2025.04.15

어린이 음악회 <신나락 만나락>

공연소개신화와 함께 신나게! 음악과 함께 만나게! 어린이 관객들을 위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이야기가 있는 환상 음악회’ 2004년부터 매년 새로운 시도로 어린이 관객에게 ‘첫’ 국악 공연을 선물해온 국립국악관현악단! 이번 시즌에는 우리 신화를 소재로 국악의 다채로운 매력을 선보인다. ‘신과 인간이 만나 함께 즐거워한다.’라는 뜻의 에서 펼쳐질 음악 세상!제목처럼 어린이 관객과 함께 즐겁고 특별한 순간을 만들어갈 국립국악관현악단 어린이 음악회!국립국악관현악단만의 어린이 공연 제작 노하우가 담긴 색다른 신작을 놓치지 말자. 시놉시스먼 옛날, 음악이 없던 세상에 노래하는 아이, ‘선율’이가 있었어요.모두가 ‘노래’하는 버릇을 가진 선율이를 이상하게 생각했지만, 단 한 사람! 엄마만은 달랐어요. 선율이는 엄..

카테고리 없음 2025.04.15

대금 수업 일지

88기반어릴 때 불러 보았던 동요 '달맞이'는 반박자 연습곡으로매 각 마다 1.5박과 0.5박이 나오기 때문에한 각씩 따로 떼어서 여러 번 연습을 하며확실하게 박자를 익혀 보시기 바랍니다.원래 속도는 꽤 빨라서 처음엔 어려울 수 있으니우선 두 배 정도 느리게 불면서 정확한 박자부터 파악하신 후차차 속도를 높여가며 연습하시는 것이 좋고모든 각에서 같은 음의 반복이 자주 나오므로'혀치기'도 꾸준히 익혀 두셔야 됩니다. 85기반지난 주에 했던 '고향 생각'을 복습해 보니아직 음정이나 박자가 조금씩 불안한 부분이 있었고음역이 높게 올라가는 가락이 대체로 잘 안 되었습니다.전주 부분에 나오는 淋과 湳 등 고음의 취법이 미숙하여湳의 음정이 낮거나 너무 강하게 소리 날 때가 있었는데고음은 강하게 부는 것이 아니..

대금 배우기 2025.04.14

Re: 대금산조의 다루치기에 대해서

이제 진양을 배우고 계신다니, 산조를 시작하신 지 그리 오래되진 않으시겠지요.산조는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기교가 자연스럽게 표현될 정도로 몸에 익어 있어야 맛이 납니다.그런데 그 테크닉이란 것이 짧은 시간에 되는 것이 아니지요.요성만 해도 몇 달 연습해 가지고는 되지도 않고, 꺾는음은 아무리 듣고 연습해도 감이 잘 안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정악을 3 년 이상 익힌 다음 어느 정도 실력이 붙었을 때 산조를 시작하곤 하지요. 지금 다루치기가 애를 먹인다고 하셨는데, 다루치기 역시 한 두 달에 완성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 후에도 끊임없이 연마하여 좀 더 다양한 다루치기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합니다.산조를 배우는 초기에 다루치기가 잘 안 되는 것은 당연하므로 너무 ..

대금 배우기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