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87

대금을 사려면

대금은 누구나 알다시피 대나무로 만듭니다. 그러나 아무 대나 악기의 재료가 되는 것이 아니고 쌍골죽이라야만 대금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쌍골죽은 돌연변이 대로서 속살이 꽉 차 있기 때문에 내경을 일정하게 파내어 음정을 정확하게 만들 수 있음) 그런데 이 쌍골죽이라는 것이 워낙 찾기가 어렵고 여러 해 묵은 대가 드물다 보니 악기 값이 아주 비쌉니다. 그래서 대부분 처음엔 플래스틱으로 만든 대금으로 배우지요. 이 플래스틱 악기는 소리도 잘나고 음정도 비교적 정확해서 초보자용으로 매우 적합합니다.하지만 대금을 어느 정도 배우다 보면 누구나 쌍골죽으로 만든 대금을 사게 되는데, 이것이 그리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우선 악기 값이 수 십만 원에서부터 백만 원이 넘는 것까지 천차만별인 데다 대량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

대금 배우기 2024.09.03

9월의 국악인 - 장사훈(張師勛)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생몰연대 1916 ~ 1991출 생 지 경북 영주전문분야 국악학인물정보- 1916 경상북도 영주군 이산면 운문리 출생- 1921 6세까지 할아버지로부터 한문 공부- 1922 이산 공립보통학교 입학. 1년 만에 자퇴 후          다시 할아버지께 한문 수학- 1927 보인 보통학교 3학년 편입- 1931 청운 보통학교로 전학 후 졸업          이왕직아악부 양성소 제4기생 입학(거문고전공)- 1936 양성소 졸업 후 아악부의 아악수로 재직- 1945 군정청 문교부 편수국 편수관으로 재직- 1947 공보부 방송국 연출과 음악계로 전출          중앙방송국 전속 조선음악회 발족- 1948 한국국악학회 발족- 1951~1953 합동통신사의 편집부 근무 및        ..

대금 배우기 2024.09.02

대금 수업 시간표

월6 : 50 ~연습곡 1번 2번숨표와 쉼표의 차이7 : 30 ~개구리 소리굿거리 장단8 : 10 ~그 집 앞無 㴌 취법과 음정화6 : 50 ~평조회상 中 상현도드리7 : 30 ~애국가고음 취법과 음정8 : 10 ~평조회상 中 세령산목6 : 50 ~연습곡 3번 4번우리음악의 분류7 : 30 ~고요한 밤 거룩한 밤淋 湳 潕 취법과 음정8 : 10 ~오빠 생각潕 운지법과 취법금6 : 50 ~평조회상 中 염불도드리7 : 30 ~봉숭아夾 취법과 반박자8 : 10 ~평조회상 中 가락덜이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

대금 배우기 2024.09.01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임 찾아 아리랑'을 느리게 불면서 취법 연습에 집중해 보았습니다.林-汰나 汰-淋처럼 음들의 간격이 넓은 곳이 있고후반부에 음역이 상승하는 가락을 불 때는고음 潕 湳 淋 소리나 음정을 정확하게 불기가 힘든데이렇게 다양한 음들을 골고루 잘 불기 위해서는저음이든 고음이든 취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입술에 힘이 들어가서 굳어지게 되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으니평소에 길게 부는 연습을 하며 입으로 부는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정악 2반지난 시간에 이어 '세령산' 3장과 4장까지 불어 보니1장이나 2장에서 여러 번 접해 본 가락들이 많아서처음보다는 좀 수월하게 불 수 있었지만간혹 짧은 음이나 복잡한 가락에서 박자가 약간씩 안 맞을 때가 있으므로1/3박과 1/6박을 구분하는데 집중하셔야겠는데..

대금 배우기 2024.08.31

악보 외우는 방법

연주 날짜가 다가오면서 슬슬 악보를 외우라는 말들이 들리기 시작합니다.어떤 곡이건 연습하고 감상할 때는 좋은데, 막상 외우려고 들면 끔찍하지요.특히 긴 곡이거나 날짜가 촉박할 때는 부담이 많이 됩니다.그러면, 악보를 보고 하면 편할 텐데 왜 굳이 외워서 연주하라고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첫째,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게 되면 악보에 얽매이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실은 자유로운 연주가 안 되기 때문입니다.거의 다 암보할 정도로 연습을 많이 한 곡이라도 악보를 펴 놓게 되면 눈이 계속 악보로만 가게 되어, 자신의 느낌을 살리면서 머리속으로 그림을 그려 낼 여유가 없지요. 또 한 가지, 학생들이나 특히 취미로 음악을 하는 분들에게 악보를 외우도록 권하는 것은 그만큼 연습을 더 하라는 뜻도 있습니다.아무래도 악보를..

대금 배우기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