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88

대금 수업 안내

기초 과정 = 대금의 구조와 역사 / 소리 내는 법 / 운지법과 자세 / 악보 읽는 법과 연습곡 / 민요 및 간단한 노래   수업 일정 = 매 주  월/목 저녁  2회 수업   월 회 비 =  매 달  6 만 원               플래스틱 대금 및 교재 = 3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수업을 받으실 수 있으며, 수강신청은 수시로 가능합니다대금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은 강습신청방에 신청글과 연락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중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연습곡 / 국악가요 / 대금 창작곡 / 정악 (여민락, 도드리, 영산회상 등 )   고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 정악 전 바탕            ..

대금 배우기 2024.08.19

대금 소리 내는 법

= 아래의 글은 초급 강습용 [저사랑 대금 교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숨을 쉴 때 흉곽을 확장하거나 내리면서 공기가 드나들게 되지만, 그렇게 하면 호흡이 흔들려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에 대금과 같은 관악기를 연주하려면 우선 복식호흡법부터 익혀야 하는데, ‘복식호흡’이란 말 그대로 ‘배(腹)’를 이용한 호흡법이며 가슴을 움직이지 않고 배로 숨 쉬는 방식이다. 복식호흡을 할 때는 공기가 아랫배로 들어온다고 생각하고 배를 부풀리며 숨을 들이마시는데, 그러면 횡격막이 아래로 처지면서 허파의 아래쪽이 확장되어 공기가 들어오게 되고, 반대로 숨을 내 쉴 때는 공기가 빠져 나가는데 따라 차차 배가 들어가도록 하면 된다.처음엔 몸이 마음대로 잘 안 움직이기 때문에 며칠..

대금 배우기 2024.08.18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민요 '뱃노래'는 반박자가 가끔 나오는 것 외에는 박자가 쉬워 보이지만굿거리장단이라 한 박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처음엔 1/2박을 정확하게 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그리고 '뱃노래'에는 처음으로 흘리는 표현이 나오는데흘린다는 말은 음정이 차차 낮아진다는 뜻으로처음엔 원래 음을 그대로 불다가 뒤로 갈수록 조금씩 낮춰야 하며취법을 조절하여 입김의 각도를 바꾸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약간 어려운 곡이라 처음엔 느린 속도로 몇 번 연습한 다음웬만큼 익숙해지고 나서 장구와 함께 굿거리장단에 맞춰 불어 보았습니다.    정악 2반이 번 주부터 '평조회상' 中 '세령산'을 시작하였습니다.'세령산'은 원래는 1분당 45 정간의 속도로 연주하는 곡이지만1/2박이나 1/3박은 물론이고 1/6박이나 1/9박도 나와..

대금 배우기 2024.08.17

바다와 같은 음악<여민락>

흔히 '여민락'을 가리켜 '바다와 같은 음악'이라고들 합니다.'여민락'은 세종 27년(1445)에 권제, 정인지, 안지 등이 지은 '용비어천가'를 노래 부르던 곡으로 현재 '여민락', '여민락 만', '여민락 영', '해령'의 4 가지가 전하는데, 이 중 '만, 영, 해령'은 당악률에 의한 관악곡이며, 보통 이라고 하면 관현합주로 연주되는 을 말하지요.그런데, 왜 여민락을 바다와 같은 곡이라고들 할까요, 그 이유 중 첫째는 그 덩치일 것입니다.수 십 명이 웅장하게 연주하는 1시간 30분이 넘는 대곡 - 여민락을 처음 접한 사람들은 그 어마어마한 길이에 질려 버립니다. 듣고만 있어도 힘들 것 같은 그 곡을 대금으로 불어 볼라치면 1장을 마치기도 전에 벌써 탈진해서 여기저기 안 아픈 데가 없습니다. 더구나 ..

대금 배우기 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