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88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지난 시간부터 지공을 하나씩 막는 연습과 함께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취법을 익히는 중인데지공을 막을수록 공명하는 관이 길어지므로 저음이 되고반대로 지공을 열면 관이 짧아져서 고음이 납니다.대부분 처음 대금을 배울 때 소리를 낼 줄 알게 되면취법을 일정하게 불면서 지공만 여닫으면 노래가 되는 것으로 착각하시는데실은 각각의 음마다 입김의 속도가 달라야 제대로 소리가 나기 때문에지공을 열고 고음을 불 때는 입김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기 위해입술을 최대한 옆으로 당기면서 좁은 틈으로 입김이 날카롭고 빠르게 나오도록 하고반대로 지공을 막아서 저음을 불게 되면 입술의 힘을 풀고 부드럽게 불어서넓은 틈으로 입김이 느리게 나오게 만들어야 합니다.    85기반'가을'은 어린 시절에 많이 들어 본 익숙한 노래라서대부..

대금 배우기 2024.08.14

신라의 만파식적, 옥적(玉笛)

아래의 글은 "국악 소식지 가을호"에 실린 주재근君의 글을 옮겨 온 것입니다."옥적은 연주용이 아니다"는 대목이 있는데이는 옥적의 치수가 실제 대금과 비교해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타당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 대금잽이 -  국악박물관에서 떠나는 우리음악기행 ③  신라의 만파식적, 옥적(玉笛)  옥적은 실제적으로 연주되는 악기는 아니지만 고금을 통하여 우리의 정신과 마음 속에피어나게 하는 천상의 소리이며 피안에서 행복과 평안을 갈구하며영원히 울려 퍼질 옥소리인 것이다.주재근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얼마 전 신문을 훑어보니 미국의 매사추세츠주 세일럼(Salem)시에 위치한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The Peabody Essex Museum)에 우리나라 최초의 미국 유학자인 유길준 선생..

대금 배우기 2024.08.13

대금 수업 일지

82기반'성주풀이'는 굿거리 장단의 노래라서3 정간을 하나로 묶어서 보며 불 수 있어야 하지만아직 박자가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한 박씩 박자를 세면서 정확하게 불 수 있도록 해 보았는데전반적으로 크게 어렵지는 않기에 금방 맞출 수 있으나후반부에 짧은 박자가 나오는 부분이 잘 안 되어재빠르게 숨을 쉬는 연습과 함께 여러 번 반복해 보았습니다.    정악 2반어린 시절에 '몽금포 타령'을 불러 본 기억이 있기 때문에처음엔 다들 쉬운 곡이라고 생각하시지만막상 대금으로 불어 보면 생각보다 박자가 어렵습니다.특히 앞부분에서 3/4박이 나오는 가락을 틀리기 쉬우므로좀 느린 속도로 부분 연습을 먼저 하고 난 뒤에처음부터 끝까지 쭉 불면서 점검을 하였는데아직 몇 군데 불안한 부분이 있으니 따로 보완하시기 바랍니다..

대금 배우기 2024.08.12

대금의 정확한 음정 내기

대금에는 6 개의 지공이 있습니다.이 6 개의 지공만으로 2 옥타브 반에 이르는 여러 음들을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에불가피하게 젖히거나 숙여 불어서 음정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그러지 않고 단순히 지공만 여닫으며 불면 음정이 맞지 않아서 음치의 노래가 됩니다.)우리 음악에는 평조와 계면조가 있고, 이론상으로는 12 율에 따른 많은 調를 만들어 낼 수가 있겠습니다만,악기 연주상의 제약 등의 문제로 실제 연주에 쓰이는 조는 몇 가지 안 됩니다.그리하여 대금에서 주로 쓰이는 음들은저취 - 㑣 㑲 㒇 (㒣) 黃 太 夾 姑 仲평취 - 林 南 無 (應) 潢 汰 浹 㴌 㳞역취 - 淋 湳 潕 (㶐) 㶂 (㳲)정도입니다.그러나 대금의 6 개 지공만으로는 모든 음들을 정확하게 연주할 수가 없기에꽤 많은 음에서 ..

대금 배우기 2024.08.11

대금 수업 일지

87기반대금을 연주하는 바른 자세와 함께 길게 소리 내는 연습을 하였으나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에겐 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힘들어도 바른 자세를 익히도록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자세가 나쁘면 겉으로 보기에 안 좋은 면도 있지만그보다는 입김을 대금에 충분히 불어넣지 못 해서제대로 된 소리가 안 나고 정확한 음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인 취법과 자세를 어느 정도 익히고 나면맨 위의 지공부터 하나씩 순서대로 막으며 소리 내는 연습을 시작하는데지공을 막기 시작하면 관의 길이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소리 나는 음도 변하기에각각의 음에 꼭 맞는 입김을 찾아야 제대로 소리가 나므로여러 번 반복 연습하며 정확한 취법을 몸에 익히시는 것이 좋습니다.    85기반지난 시간에 조금 익혀 보았던 '가을..

대금 배우기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