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71

대금 수업 일지

직장 일이 바빠서 지난 주에 결석했던 은지와 준희가 오랜만에 수업에 참석하였네요. 요즘은 어디든지 젊은 직장인들은 취미활동을 즐기기 힘들 정도로 바쁘고 몇 년 후에 겨우 자리를 잡고 안정이 되었나 싶다가도 혼인을 하고 육아에 전념하다보면 금방 10년이 지나가 버립니다. 그런가 하면 나이가 들면 시간에는 좀 여유가 생기지만 그때는 몸과 정신이 마음같이 되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게 되는데 다들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여유로운 세상이 어서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빠 생각'은 박자는 단순하지만 앞 부분 선율의 취법이 어려운데 첫 소절의 가락 仲~南~潢~㳞 을 살펴 보면 음들의 간격이 仲 O O O 南 O O 潢 O O O O 㳞 와 같이 들쑥날쑥하고 潢~㳞 사이의 음역이 특히 넓어서 정확한 음정으로 연결하기 ..

대금 배우기 2023.01.13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조각배'는 1/2박과 1/4박을 정확하게 구분해서 불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1박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그것이 가능합니다. 나아가서 3/4박과 1박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시고 저음이 나오는 부분에서 대금 소리가 잘 안 나서 박자가 느려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姑 다음에 연결되는 㑲 소리를 부드럽게 불 수 있도록 짧은 시간 내에 입술의 힘을 빼는 연습도 많이 해 보시기 바랍니다. 같은 가락이라도 음역이 달라지고 조성이 바뀌면 곡의 느낌도 다르고 각각의 음에 대한 운지법이나 취법도 새로 익혀야 하는데 '누나의 얼굴 4번'은 최고음역으로 이조된 것이라 淋 湳 潕 㶂 등 고음의 취법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고음이라고 너무 강하게 불어서 투박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浹의 음정을 정확하게 맞추려면 최대..

대금 배우기 2023.01.11

대금 수업 일지

이 번 주에는 초급반과 중급반 모두 복습 위주로 진행하였습니다. 83기반은 연습곡 3번부터 4번과 5번, 6번까지 82기반은 '고드름'과 오빠생각' 78기반은 '봉숭아'와 '그리움' 정악반은 '가을밤'과 '조각배' 등을 하였는데 복습을 하면 여러 번 반복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칫 지루하게 생각하실 수 있겠으나 길게 내다보면 한 곡이라도 정확하게 불 수 있도록 복습을 철저히 하는 것이 여러 곡을 다양하게 익히는 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각 반별로 지난 시간에 배웠던 곡을 다시 불며 점검을 하였음에도 대부분 연습이 충분하지 않아서 박자나 음정을 틀리는 부분이 많았는데 한 두 곡에서 잘 안 되는 부분이 조금 있는 것은 문제가 안 될 수도 있지만 그것이 세월과 함께 쌓이다 보면 나중에는 감당할 수 없게 됩니다. 예..

대금 배우기 2023.01.09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가을밤'과 같은 4중주곡을 연주해 보면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데 4명이 함께 불긴 하지만 모두 다른 가락이라서 박자나 음이 다른 여러 파트의 선율에 현혹되지 않아야 하는 데다 자신이 맡은 파트를 정확하게 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모두가 서로의 가락도 대충 알고 있어야 하므로 각각 독주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집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여러 사람이 제주를 할 때는 연습이 부족하거나 미흡한 부분이 있어도 다른 분들에게 묻혀서 대충 불면 되기에 부담이 없지만 독주를 할 수 있으려면 엄청나게 많은 연습을 해야 합니다. '조각배'에 나오는 1/2박과 1/4박은 이미 여러 번 익혀 본 것이긴 하지만 아직 1/4박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들쑥날쑥하므로 같은 속도에서는 1/4박의 길이가 항상 정확하게 같도록 ..

대금 배우기 2023.01.07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이제 '가을밤'의 악보가 어느 정도 익숙해졌기에 한 분씩 파트를 나눠 맡아서 4중주를 해 보았는데 서로 잘 어우러지면 독주만 할 때는 느낄 수 없는 아름다운 음색을 만들 수 있지만 한 파트씩만 따로 불 때는 쉬워 보이던 가락도 막상 역할을 나눠서 연주하게 되면 화음을 이루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서로 멜로디가 엇갈리는 부분도 어렵긴 하지만 다른 파트가 한 음을 길게 끄는 동안 혼자 가락을 연주하는 솔로 부분이 특히 잘 안 되는데 그것은 선율이 어려워서라기 보다는 독주를 하는 부담과 긴장 때문이므로 솔로 파트를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으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악보를 쭉 훑으며 불어 본 뒤에는 서로 역할을 바꿔서 또 한 번 불어 보았는데 악보가 바뀌면 아무래도 익숙하지 않아서 정..

대금 배우기 2023.01.05

대금 수업 계획 - 중급반

78기반 '봉숭아'는 1번과 2번으로 파트가 나눠진 2중주곡인데 반박자를 비롯한 박자도 정확하게 연주해야 하지만 수시로 등장하는 쉼표 때문에 엇박이 많아서 상당히 까다롭고 浹 姑 등의 취법과 음정을 정확하게 연주하는 것도 제법 힘든 곡이지만 두 성부가 화음을 이루면 그 소리가 무척 아름답습니다. '그리움'은 가락이 단순하고 박자도 쉽지만 應과 蕤처럼 평소 접하기 힘든 음들의 음정을 익히기 위한 곡이며 정확한 음정을 찾을 때까지 젖혀 부는 취법을 집중 연습하셔야 됩니다. '아 목동아'는 숙여 부는 夾과 無의 취법에도 주의를 해야 하지만 그보다는 박자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까다로운 곡입니다. 1/2박이 굉장히 많이 나오는 데다 엇박이 자주 등장하여 박자를 틀리기 쉬운데 쉼표를 정확하게 지켜야 박자를 맞출..

대금 배우기 2023.01.03

대금 수업 계획 - 초급반

83기반 연습곡 6번과 7번부터 시작하여 8번 9번 10번까지 해 볼 텐데 7번까지는 왼손 운지법의 㳞 汰 潢 3 음만 계속 연습하였지만 8번부터는 처음으로 南가 나오기 시작하므로 南의 운지법과 음정을 익히는 연습을 주로 합니다. 南는 오른손 지공 두 개를 막고 부드럽게 부는데 오른손 모양을 제대로 잡는 것도 어렵지만 저음이라서 힘을 빼고 약하게 부는 것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론수업으로는 우리 악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소리 내는 방법에 따라 관악기와 현악기, 타악기로 나누어 여러 가지 악기들의 역사와 특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82기반 '가을밤'은 '고드름'에 이어 반박자를 연습하는 곡인데 다들 어릴 때 한 번쯤 들어 본 노래라서 친숙하지만 1.5박이 자주 나와서 정확한 박자를 유..

대금 배우기 2023.01.02

대금 수업

기초 과정 = 대금의 구조와 역사 / 소리 내는 법 / 운지법과 자세 / 악보 읽는 법과 연습곡 / 민요 및 간단한 노래 수업 일정 = 매 주 월/목 저녁 2회 수업 월 회 비 = 매 달 6 만 원 플래스틱 대금 및 교재 = 3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수업을 받을 수 있으며, 수강신청은 수시로 가능합니다 대금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은 강습신청방에 신청글과 연락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중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연습곡 / 국악가요 / 대금 창작곡 / 정악 (여민락, 도드리, 영산회상 등 ) 고급반 = 매 주 화/금 저녁 2회 수업 정악 전 바탕 / 대금산조 월회비 = 매 달 6 만 원 저사랑국악회에 오셔서 입회절차를 거치고 ..

대금 배우기 2023.01.01

대금 수업 시간표

월 7 : 00 ~ 연습곡 7번 ~ 8번 우리 악기의 종류 7 : 50 ~ 가을밤 반박자 연습 화 7 : 00 ~ 조각배 1/4박 연습 / 姑 음정 7 : 50 ~ 봉숭아 浹 취법과 음정 목 7 : 00 ~ 연습곡 9번 ~ 10번 南 운지법과 취법 익히기 7 : 50 ~ 올드랭싸인 못갖춘 마디 금 7 : 00 ~ 기다리는 마음 㶐 취법과 음정 7 : 50 ~ 그리움 應 / 㽔 취법과 음정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 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금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열려 있습니다. cafe.daum.net

대금 배우기 2023.01.01

1년 대금 수업 결산 - 중급반

78기반 '가을밤' '달맞이' '산바람 강바람' 등 2분박 연습곡에서 반박자를 익히고 나서 '점아 점아 콩점아' '고향의 봄'을 불면서 혀치기와 고음의 취법을 '진주 난봉가' '꽃분네야' '해야 솟아라' '개구리 소리'에서는 강약 조절과 흥겨운 굿거리 장단의 느낌을 살려 보았고 '섬집 아기' '고향 생각' '따오기' '누나의 얼굴' '가을' '어머님 은혜' '기다리는 마음' '봄처녀' '엄마야 누나야' '에델바이스' '세노야' '홀로 아리랑' '오나라' '빼앗긴 들에도' '그 집 앞' '4월의 노래' '그네' '스와니강' '아 목동아' '임 찾아 아리랑' 등을 통해 夾 姑 無 을 비롯해 淋 湳 潕 㶂 등의 고음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음들의 취법과 2분박과 3분박, 못갖춘 마디와 엇박 등 다양한 박자를 ..

대금 배우기 202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