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배우기 2064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그동안 연습했던 '바람' 3악장을 파트를 나눠 2중주를 해 보았습니다. 먼저 1번 대금과 2번 대금 각각의 선율을 연습한 뒤 좀 느린 속도로 불면서 호흡을 맞춰 보았는데 처음 시작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은 별 어려움이 없었지만 11페이지의 가락이 복잡하여 악보대로 정확하게 불기가 힘들었습니다. 서로 박자와 음정을 맞춰 불면서 화음을 이루려면 자기가 맡은 가락은 물론 상대방의 악보까지 함께 보면서 불 수 있어야 하니 거의 악보를 외울 정도로 연습이 되어야 여유가 생기므로 잘 안 되는 부분은 좀 더 연습하셔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보시기 바랍니다. 82기반 '섬집 아기'부터 젖혀 부는 姑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고향 생각'에선 姑과 함께 전해 배웠던 無까지 나오는데 두 곡 모두 가락이 단순하고 박자가 ..

대금 배우기 2023.08.11

물고기를 잡아주지 말고 대금 부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인터넷에서 외국으로 음악 유학을 다녀온 분의 글을 보았는데 우리나라 음악계의 교육방법에 대해 반성하도록 하는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를 다지기 보다는 대가의 흉내를 내어 멋있는 연주만 하려고 하는 조급한 사람들, 제대로 음악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지금이라도 돌아보고 바른 길을 찾아야 합니다. ( 아래의 인용문은 그 글의 앞부분입니다 ) - 비싼 돈 주고 유학 다녀온 저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바보입니다 - 오랜기간 공부를 하고 외국을 가서 음악의 본고장에서는 더 깊은 공부를 해보았다. 그들은 자연스러운 소리를 요구했다. 한국 사람들은 모두들 두드리는 소리를 내고 하나같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혹자는 처음에는 대가처럼 치다가 새 곡을 받고는 그 대가 같은 면모가 없어지고, 음악을 처음 접하는..

대금 배우기 2023.08.10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바람' 3악장의 1번 대금 악보는 많이 익숙해졌지만 조금 빠르게 불면 정확하게 안 되는 부분이 있고 2번 대금 선율은 얼핏 보기엔 가락이 전혀 다른 것 같지만 몇 번 불어 보면 생각보다 빠르게 적응이 되는데 대부분 1번 대금 악보에 나왔던 가락들의 변형이라 이미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2중주를 하려면 좀 더 가락이 익숙해져야 하므로 1번 대금과 2번 대금 선율을 모두 충분히 연습하시되 가락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부분은 따로 보완을 하셔서 악보를 안 보고도 쉽게 불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78기반 종묘제례악 '보태평' 中 '희문'과 '기명'부터 익히기 시작하였습니다. 역대 왕들의 덕을 칭송한 노래인 '보태평'은 모두 11곡으로 이루어졌는데 곡명은 모두 가사의 내용에서 따온 것으로 '희문'은 ..

대금 배우기 2023.08.09

대금 수업 일지

대금을 배우는 초심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사항들 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취법입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은 소리 내는 방법을 배운 뒤에 운지법만 알면 금방 대금을 잘 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시지만 대금은 손가락으로 연주하는 현악기가 아니라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만드는 관악기이므로 지공을 여닫는 손가락보다 입김을 조절하는 취법이 훨씬 중요하며 여러 가지 운지법에 따른 각각의 음마다 입김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 십 가지 입김의 속도를 정확하게 맞춰서 불어야 하고 나중에는 음정과 강약의 변화를 위해 훨씬 더 다양한 취법을 구사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런 다양한 취법을 구사할 수 있으려면 배를 이용하여 숨 쉬는 복식호흡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데 왜 그런고 하니, 입으로 불게 되면 입술에 힘이 들..

대금 배우기 2023.08.08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먼저 '바람' 3악장 中 1번 대금 가락을 복습하고 나서 2번 대금의 선율도 쭉 한 번 훑어보았는데 3악장은 1번과 2번이 서로 엇갈리는 부분이 많기에 대부분 서로 가락이 달라서 처음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우선 2배 정도 느린 속도로 불면서 박자를 파악해 보았습니다. 어떤 곡이든지 어려운 부분과 쉬운 부분이 번갈아 나오기 마련인데 어려운 부분은 따로 보완한 뒤에 차차 속도를 높여서 불면 되고 악보를 보면서 가락이 복잡한 부분을 빠르게 연주하는 것이 잘 안 되시면 그냥 여러 번 반복 연습하셔서 악보를 외워 부시되 잘못된 박자나 취법으로 연습하며 외우면 안 되니 반드시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 후에 암기하셔야 됩니다. 82기반 지난 시간에 이어 '개구리 소리'를 복습해 보니 전보다 박자는 많이 좋..

대금 배우기 2023.08.07

대금 수업 일지

85기반 지난 시간에 우리음악에 쓰이는 '12율'에 대해 배웠고 이 번에는 그 음들을 선별하여 음계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 볼 차례인데 서양음악의 '선법'에 '장조'와 '단조'가 있듯이 우리음악은 '평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 조성이 있어서 평조는 화평정대한 느낌이고 계면조는 슬픈 느낌입니다. 실제 음악에서는 계면조가 훨씬 많지만 꽤 어렵기 때문에 처음에는 평조 음계, 그 중에서도 黃평조 음계를 먼저 배우는데 그 구성음은 黃-太-仲-林-南-潢이 되고 黃-太 나 仲-林, 林-南 사이의 간격은 좁은 반면 太-仲 과 南-潢 사이는 넓어서 각각의 음들 간 간격이 들쑥날쑥한데 그렇기 때문에 곡의 느낌이 달라지는 것이지요. 84기반 연습곡 11번부터 13번까지 林의 운지법을 계속 연습하는 한편 새로 仲의 운지법과..

대금 배우기 2023.08.06

대금 수업 일지

정악반 '바람' 3악장을 좀 느린 속도로 연습하고 있습니다. 앞부분은 가락이 쉬워서 악보에 지정된 속도대로 불 수 있지만 중간 부분에서 가락이 복잡해져 감당이 안 되니 익숙해질 때까지 당분간 느리게 부분 연습을 많이 하셔야겠네요. 그런데, 원래 속도보다 2~3배 느리게 불면 가락은 소화할 수 있지만 호흡이 모자라서 악보대로 길게 불 수가 없고 리듬이 분명한 가락의 원래 느낌을 살리기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3악장은 가락이 길게 쭉 이어지는 부분이 많아서 중간에 끊어 불기가 애매하므로 처음엔 느리게 연습하더라도 웬만큼 익숙해지만 차차 빠르게 불면서 원래 속도에 맞춰 곡의 느낌을 살리도록 해야겠지요. 82기반 지난 시간에 이어 '개구리 소리'를 복습하며 점검하였는데 이제 취법은 전보다 좋아져서 대금 소리가 부..

대금 배우기 2023.08.05

대금 수업 일지

85기반 복식호흡법과 함께 대금 소리 내는 방법을 익히고 나면 한 음씩 길게 불면서 취법을 몸에 익힐 차례인데 우선 지공을 모두 열고 10초 정도 일정하게 부는 연습을 여러 번 한 뒤 첫 번 째 지공 하나만 막고 또 10번~20번 반복하고 그것이 잘 되면 두 번째 지공까지 막고 또 여러 번 반복 연습합니다. 취법과 자세를 익히는 틈틈이 이론 수업을 병행하여 우리 음악에 쓰이는 12율명에 대해 설명 드렸는데 음악을 익히기 위해서는 음계를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므로 영어를 배울 때 처음에 알파벳부터 배우듯이 높고 낮은 순서대로 술술 외우는 것은 당연하고 나아가 각각의 음들의 위치와 간격까지 머리 속에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84기반 먼저 林 운지법을 몇 번 연습한 다음 연습곡 12번을 불어 보니 그동안 黃평..

대금 배우기 2023.08.04

대금 수업 계획 - 중급반

78기반 8월부터 정악곡인 종묘제례악을 배우기 시작하는데 종묘제례악은 거의 600 년 전에 작곡된 곡으로 우리음악과는 전혀 다른 당악률(중국 음계)로 만들어졌기에 운지법과 취법을 새로 익혀서 음정을 맞춰야 합니다. 종묘제례악은 보태평과 정대업으로 구성되었고 그 중 선왕들의 덕을 칭송한 노래인 보태평부터 먼저 배우는데 보태평은 모두 11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으로 '희문' '기명' '귀인' '형가'... 등의 순으로 이어지며 앞부분의 '희문' '기명'과 같은 곡들이 제일 쉽고 간혹 곡에 따라 조금 어려운 부분이 나오긴 하지만 순서대로 한 곡씩 차근 차근 기본기를 다지며 익혀 나가면 큰 어려움 없이 불 수 있게 되어 유구한 세월을 이어온 종묘제례악의 장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정악반 지난 달에 이어 대..

대금 배우기 2023.08.03

대금 수업 계획 - 초급반

85기반 지난 달에 대금 소리 내는 방법과 바른 연주 자세 12율과 평조/계면조 등의 선법까지 배웠으니 이제는 정간보 읽는 법을 배워서 연습곡을 시작할 차례입니다. 연습곡 1번과 2번은 한 음씩 길게 뻗으면서 취법을 연마하는 것인데 쉼표와 숨표의 차이를 분명하게 파악해야 하며 3번부터 두 음을 이어서 부는 취법을 시작하고 4번에서는 3공까지 막는 潢을 연습하게 되는데 당분간 㳞와 汰, 潢까지 3음을 익히면서 왼손의 운지를 연습하겠습니다. 84기반 연습곡 13번과 14번에서 林과 더불어 仲의 운지와 취법을 익히고 나면 좀 더 다양한 음들이 등장하는 15번을 시작하게 되는데 15번부터는 3 정간이 모여서 강(綱)을 이루어 지금까지 익혔던 곡들과는 리듬이 전혀 다릅니다. 15번에 이어 배울 16번 역시 비슷한..

대금 배우기 202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