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악곡들 중에는 원래 곡명 외에 멋스럽게 부르느라 임시로 곡명을 지어 붙인 경우가 많았는데
세월이 흐르다 보니 원곡명은 안 쓰고 가명을 쓰거나
같은 이름을 여기 저기 중복해서 사용한 예도 있어 혼동할 수 있으므로
곡의 갈래와 성격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라도 원래 이름을 정확하게 부르는 것이 좋습니다.
X ⇨ | O | 비 고 |
수연장지곡 | (밑)도드리 | 보허자의 환입(도드리)부분에서 파생 |
송구여지곡 | 윗도드리 | 도드리를 옥타브 위로 변주 |
중광지곡 | 영산회상 | ‘영산회상불보살’이란 가사에서 유래 |
유초신지곡 | 평조회상 | 영산회상을 평조(낮은 조)로 변주 |
표정만방지곡 | 관악영산회상 | 관악기 위주로 편곡된 영산회상 |
정상지곡 | 별곡 | 도드리와 영산회상, 천년만세를 엮은 별도의 곡 |
만파정식지곡 | 취타 | 불고(吹) 때리는(打) 악기로 편성된 행악(行樂)인 '취타'의 태평소 가락을 관현악으로 편곡 |
수요남극 | 취타 | 현악 편성의 취타 |
절화 | 길군악 | |
일승월항 | 길타령 | |
금전악 | 별우조타령 | |
만년장환지곡 | 가곡 | 자진 한 잎(數大葉) = 노래(가곡) |
초수대엽 | 초삭대엽 | 첫 째 자진 한 잎 |
이수/삼수대엽 | 이삭/삼삭대엽 | 빠를 삭(數) |
경풍년(전체) | 사관(향관)풍류 | 가곡(자진한잎)반주에서 세피리로 연주하던 것을 향피리(향관)로 바꿔 변주한 곡 |
경풍년 1 | (사관풍류)평조두거 | 가곡 ‘평조두거’를 관악곡으로 변주 |
경풍년 2 | (사관풍류)변조두거 | 평조두거와 계면두거를 섞어서 연주 |
염양춘 | (사관풍류)계면두거 | 가곡 ‘계면두거’를 관악곡으로 변주 |
수룡음 1 | (사관풍류) 농 | 가곡 ‘평롱’을 변주 |
수룡음 2 | (사관풍류) 계락 | 가곡 ‘계락’을 변주 |
수룡음 3 | (사관풍류)편삭대엽 | 가곡 ‘편삭대엽’을 변주 |
수제천 | (빗가락) 정읍 | 음계명 횡지(빗가락)에서 유래 |
동동 | 세가락 정읍 | 삼지(옛 음계명)로 연주하는 정읍 |
보태평 中 열광 정명 |
용광 정명 | 일제시대에 열광 정명으로 격하시킴 |
경록무강지곡 | 여민락만 | |
기수영창지곡 | 낙양춘 | |
태평춘지곡 | 여민락영/ (본령) | 여민락영이 원 이름, 해령이 생긴 후 본령이라고 함. |
서일화지곡 | 해령 | 여민락영을 풀어서(解) 변주한 곡 |
장춘불로지곡 | 보허자 | |
황하청 | 보허사 | |
헌천수 | 긴염불/염불타령 | |
요천순일지곡 | 청성자진한잎/청성곡 | 가곡 이삭대엽(둘째 자진 한 잎)의 반주선율을 높여서(淸聲) 변주한 곡 |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
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금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열려 있습니다.
cafe.daum.net
'대금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금 수업 결산 - 중급반 (2) | 2023.11.30 |
---|---|
대금 수업 결산 - 초급반 (0) | 2023.11.29 |
대금 수업 일지 (1) | 2023.11.27 |
대금 수업 안내 (1) | 2023.11.25 |
대금 수업 일지 (1)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