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은 없다 대금을 배우다 보면 어려운 고비를 만나게 마련이고 한계를 느껴서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에는 아래의 연주자들을 보면서 용기를 내시기 바랍니다. 먼저 한 손이 없는 기타리스트입니다. 다음은 양 팔이 모두 없는 기타리스트 그 외에도 영국에는 귀가 들리지 않는 음.. 대금 배우기 2008.08.12
8 월 대금 수업 시간표 월 7 : 30 ~ 연습곡 3번 ~ 연습곡 5번 8 : 20 ~ 연습곡 7번 ~ 연습곡 9번 화 7 : 20 ~ 뱃노래 / 아리랑 8 : 00 ~ 바 람 8 : 40 ~ 짧은 산조 수 7 : 00 ~ 단 소 영산회상 목 7 : 30 ~ 반달 / 새야새야 8 : 20 ~ 진주난봉가 / 꽃분네야 금 7 : 20 ~ 밀양 아리랑 8 : 00 ~ 평조회상 중영산 8 : 40 ~ 가 곡 토 3 : 00 ~ 염불 / 타령 4 : 00 ~ 바 람 / .. 대금 배우기 2008.07.31
7 월 수업 시간표 월 7 : 30 ~ 소리 내는 법 대금 운지법 8 : 20 ~ 연습곡 5번 ~ 연습곡 7번 화 7 : 20 ~ 연습곡 17번 ~ 연습곡 19번 8 : 00 ~ 평조회상 중영산 8 : 40 ~ 짧은 산조 수 7 : 00 ~ 단 소 초급 ~ 영산회상 목 7 : 30 ~ 12 율명 악보 보는 법 8 : 20 ~ 반달 / 새야새야 금 7 : 20 ~ 애사당 / 세노야 8 : 00 ~ 바 람 8 : 40 ~ 가 곡 토 3 : 00 ~ 염불 / .. 대금 배우기 2008.07.01
6 월 수업 시간표 월 7 : 20 ~ 연습곡 15번 ~ 연습곡 16번 8 : 10 ~ 연습곡 3번 ~ 연습곡 6번 화 7 : 20 ~ 평조회상 염불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긴산조 자진몰이 목 7 : 20 ~ 상주모심기노래 산도깨비 8 : 10 ~ 반달 / 새야새야 금 7 : 20 ~ 평조회상 중령산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가 곡 대금 배우기 2008.06.03
5 월 수업 시간표 월 7 : 20 ~ 연습곡 14번 ~ 연습곡 15번 8 : 10 ~ 대금의 이해 소리 내는 법 / 운지법 화 7 : 20 ~ 평조회상 상령산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긴산조 자진몰이 목 7 : 20 ~ 오나라 상주모심기노래 8 : 10 ~ 12 율명 정간보 보는 법 금 7 : 20 ~ 평조회상 상현도드리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가 곡 대금 배우기 2008.05.14
Re: 대금 소리가 잘 안 나는 것은 저사랑국악회 = http://cafe.daum.net/daegumlove 반갑습니다. 이제 대금을 배우신 지 6 개월 정도 되셨겠군요. 벌써 짧은 산조를 거진 다 배우셨다니 매우 진도가 빠른 편이군요. 대금 소리가 잘 났다 안 났다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크게 나누면 악기의 상태에 따른 것이 있고, 연주.. 대금 배우기 2008.04.18
4 월 수업 시간표 월 7 : 30 ~ 연습곡 13번 ~ 연습곡 15번 화 7 : 20 ~ 그렇지요 / 장작불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긴산조 중중몰이 목 7 : 30 ~ 올드랭사인 아침이슬 금 7 : 20 ~ 여민락 / 가락덜이 8 : 00 ~ 영 산 회 상 8 : 40 ~ 관악영산회상 대금 배우기 2008.03.31
대금을 사려면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은 누구나 알다시피 대나무로 만듭니다. 그러나 아무 대나 악기의 재료가 되는 것이 아니고 쌍골죽이라야만 대금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쌍골죽은 돌연변이 대로서 속살이 꽉 차 있기 때문에 내경을 일정하게 파내어 음정을 정확하게 만들 수 .. 대금 배우기 2008.03.21
영화를 보지 않는 이유 서울대학 교내에 있는 문화관에서는 크고 작은 연주회가 수시로 열립니다. 교내에서 하는 것인만큼 당연히 무료이지요. 그러나 공짜라고 해서 학생들 공연만 하는 것은 아니고, 무형문화재나 교수들을 비롯한 국내의 유명한 음악가들의 연주도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공연장에서는.. 대금 배우기 2008.03.12
[스크랩] 신비의 소리 = 옥대금(玉笛) 아래의 글은 "국악 소식지 가을호"에 실린 주재근君의 글을 옮겨 온 것입니다. "옥적은 연주용이 아니다"는 대목이 있는데, 이는 옥적의 치수가 실제 대금과 비교해 터무니 없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타당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 대금잽이 - 국악박물관에서 떠나는 우리음악기행 ③ 신라의 만파식적, .. 대금 배우기 2008.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