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기반
'우리의 소원'은 반박자도 없고 박자는 쉬운 편이지만
浹과 無 등 숙여 부는 음들이 많아서 취법에 집중해야 하는데
潕 湳 淋과 같은 고음의 취법 역시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체로 선율이 어렵지 않으나 가끔 음역이 넓게 도약하는 부분이 있으며
특히 넷째 각에서 無-淋으로 이어지는 가락의 연결이 까다로우니
각각의 음들을 정확하게 소리 낼 수 있도록 연습해 보시고
매 각 마다 가락이 끝나는 부분은 힘을 주지 말고 부드럽게 처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깨끗한 음색에 너무 치중하여 연습하다 보면
자칫 대금 소리가 가늘고 답답해질 수 있으므로
항상 숨을 크게 쉬고 시원하게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정악2반
'평조회상' 中 '타령'을 시작하여 1장을 조금 불어 보았는데
1/4박과 장식음 부호가 제법 많이 나오긴 해도
대부분 '우조 가락 도드리'에서 여러 번 익힌 것들이므로
그다지 어려울 것은 없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아직 가락이 익숙하지 않으셔서 그런지 박자가 조금씩 안 맞거나
간혹 장식음 부호를 틀리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악보를 제대로 파악하시지 못 하셔서 아무 데서나 끊어 부시는데
'숨표'는 호흡을 준비하기 위해 표시한 기호도 되지만
악구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므로
반드시 악보에 표기된 '숨표'를 지키면서 불어야 하니
악보를 잘 보시면서 천천히 부분 연습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악1반
'중령산'의 끝 부분인 4장과 5장까지 불어 보았습니다.
4장은 3 각 밖에 안 되는 짧은 악장이지만
가락이 좀 낯설어서 그런지 박자가 잘 안 맞는 부분이 있었고
㳞를 흘리는 표현 역시 아직 미흡하니 좀 더 보완하셔야겠네요.
5장은 대부분 1장을 반복하는 것이라 그리 어렵지 않게 소화할 수 있지만
끝부분의 가락이 10박으로 줄고 속도가 빨라져서 조금 까다로운데
한 곡 안에서 이렇게 장단이 바뀌는 이유는
다음 곡인 '세령산'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서
미리 '세령산'의 박자에 맞춰 부는 것입니다.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
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금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열려 있습니다.
cafe.daum.net
'대금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금 수업 일지 (1) | 2024.04.18 |
---|---|
대금정악 - 조창훈선생님 (0) | 2024.04.17 |
대금정악 - 김응서선생님 (1) | 2024.04.15 |
대금 수업 일지 (0) | 2024.04.14 |
효율적인 대금 연습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