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기반
복식호흡이 자유롭게 되고 대금 소리가 곧잘 나게 되면
지공을 막으면서 또 소리 내는 연습을 하게 되는데
대금에 있는 6개의 지공은 관의 길이를 바꿔서
높고 낮은 여러 가지 음을 불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며
지공을 여닫을 때마다 바뀌는 음에 맞춰 입김의 속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즉, 각각의 지공에 해당하는 음마다 취법이 다르다는 말인데
잘 모르는 분들은 모든 음을 똑 같이 불면서 지공만 여닫으면 노래가 되는 것으로 생각하시지만
실제로는 고음과 저음에 따라 입김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음마다 정확한 취법을 익혀야 제대로 불 수 있습니다.
85기반
연습곡 7번까지 복습하며 소리 내는 연습을 한 뒤에
8번을 본격적으로 익히기 시작하였습니다.
아직은 지공도 잘 안 막히고 南 소리가 마음대로 나진 않으므로
우선 길게 뻗으며 소리 내는 연습이라고 봐야 할 텐데
둘째 각과 셋째 각에 조금 까다로운 부분이 있으니
따로 부분 연습을 많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南-汰가 연결되는 부분과 㳞-潢이 이어지는 가락은
지공 3개를 동시에 여닫을 수 있어야 하고
음 높이의 차이가 큰 만큼 입김 조절도 쉽지 않으므로
운지 연습과 함께 취법도 많이 연습하셔야 됩니다.
84기반
이제 쌍골죽 대금도 많이 익숙해지셔서 지공도 거의 막히시고
南나 林과 같은 저음 소리도 전보다 잘 나시길래
'혀치기'를 조금 익혀 보았습니다.
같은 음이 반복될 때는 각각의 음들을 구분하기 위해
'혀치기'라는 주법을 이용하는데
우선 한 음을 길게 뻗으면서 혀로 윗니 뒤쪽의 경구개를 치며
'루'나 '두'를 발음하듯이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때 입김에 강약을 주어 '후, 후'하며 불면 안 되고
입김이 끊어지거나 강해지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혀만 움직여서 음의 구분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83기반
'점아 점아 콩점아'를 연습해 보았습니다.
가락이 크게 어려운 곡은 아니지만 1/2박이 많이 나와서
예전에 했던 '타박네야'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박자가 쭉 이어지다가 한 박으로 바뀔 때 박자를 틀리기 쉬우므로
1/2박과 1박을 구분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되고
같은 음의 반복이 많으므로 '혀치기'를 분명하게 해야 합니다.
박자가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우선 느리게 몇 번 불었더니
호흡이 모자라서 악보대로 8 정간을 쭉 불기가 힘들고
좀 빠르게 불면 박자를 틀리는 경우가 있었는데
당분간은 느리게 연습하면서 정확한 박자를 익히고 나서
차차 속도를 높여가며 연습해야겠네요.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