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소식

김송희의 춤

대금잽이 2008. 11. 21. 09:08

 

 

명 : 김송희의 춤
공연기간 : 2008-11-23(일)
공연일시 : 오후 5:30 ~ 6:40
소 : 우면당
최 : 김송희
원 : (사)월륜춤 보전회, 한성가전산업주식회사
찬 : 춤으로보는세상
관람연령 :
관람시간 : 70분
격 : 2만원
의 : 010-4842-4233
 
김송희의 춤


▶ 공연내용

1. 태평무(한영숙류) / 김송희
한영숙의 태평무는 그가 승무, 살풀이 등에서 보여 준 것과 마찬가지로 절제된 멋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곧게 편 몸, 수직으로 움직이는 오금과 돋음, 여기에 태평무 특유의 잦은 발놀림으로 추어지며, 춤의 시작은 삼현육각의 유려한 시나위로 시작하여 중간은 타악으로 일관하고 다시 끝맺음에는 시나위 합주로 막을 내리는 음악적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동작이 섬세하고 우아하며 절도가 있으며 특히 빠른 발디딤과 다양함은 이 춤만이 가진 멋이라 할 수 있다.

2. 판소리 - 흥보가 中 박 타는 대목 / 유미리

3. 입 춤 / 김송희
춤에 있어 <입춤>이란 <서춤>과 같아 단아하고 정갈하며 마음을 가다듬어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은은하게 우러나오는 감성을 육신을 통하여 무원과 무맥을 풀어내는 춤으로 궁중정재의 절제된 품위와 서민의 소탈한 마음의 조화를 함께 간직한 우리춤의 원초적 춤사위로 옛날 권번이나 무용연구소에서 기본춤으로 정하는 춤 세계 입문의 춤이라 할 수 있는 춤이다.

4. 사랑의 향기 / 정명훈, 신채민
우리 고전을 대표하는 작자 미상의 애정소설인 춘향전은 남여노소 누구의 마음에나 잘 알려진 애절한 사랑 이야기다. 옛 부터 구전되어온 사랑의 사연을 문장이 아닌 노래와 춤으로 표현한 2인무로, 널리 알려진 성춘향과 이몽룡의 애절한 정감을 표현하였으며 꽃의 정과 향기를 표현하며 두 사람의 정취를 더욱 깊게 구성하였다.

5. 중부살풀이 / 김송희
무속에 나오는 무무로서 살은 인간의 삶의 액운 즉 독하고 모진 기운으로서 흉살과 재앙등의 악귀의 짓을 의미하며 삶의 해로운 원혼과 기운을 모두 풀어버리는 것을 살풀이라 하여 팔도굿 중에는 모두 액풀이 과정이 있으며 오늘 추어지는「경기살풀이춤」은 무속중 서울을 중심으로한 중부권에서 찾을수 있는 춤사위를 집대성하여 1990년 국립무용단에서 초연된 조흥동류의 「경기살풀이춤」으로 정립되어 왔다.

6. 사물놀이 삼도 농악가락 / 홍윤기, 최재근, 이동주, 김선희

7. 장고춤 / 김송희, 김지은, 장민경, 서은애, 임종선
여인들의 잘룩한 허리에 장고를 걸러 메고 여러 가지 리듬으로 변화시키며 까치걸음이라는 독특한 걸음걸이로 가볍게 발을 옮기기도 하고 도약하며 추는 매우 흥겨운 작품으로 오늘의 이 춤을 1991년 초연작품으로 조흥동이 음악을 선정하고 춤사위 하나하나를 연구하여 새롭게 안무하여 우리 여인의 흥과 멋을 장고에 실어 마음껏 표현한 작품이다.


▶ 김송희 프로필

사사 : 조흥동, 김정학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 졸업
(전) 서울예술단 단원
(전)경기도립무용단 단원
(현) 경기도 국악당 한국무용 강사
(현) 국민대학교 ‘조흥동의 춤’수업
(현) (사)월륜춤 보전회 회원
(현) 광명시무용협회 부지부장
(현) 경기도지방공무원 한국무용 특강
2006년 기전무용제 광명무용단작품 안무 및 출연 금상수상
2006년 광명시를 빛낸 예술인 상 수상


▶ 출연 및 스태프

- 장고춤 : 김지은, 서은애, 장민경, 임종선
- 사랑가
신채민 (현) 경기도립무용단 단원, 신인무용콩클 전통부분수석상)
김명훈 (현) 경기도립무용단 단원, 신인무용콩클 창작부분특상)
- 판소리 : 유미리 (현) 국립국악원 단원, 이화여대,중앙대,단국대 강사)
- 해설 : 이지훈 (KBS성우공채31기)

- 의상 : 신의상실, 춤으로보는세상
- 음악편집 : 양승용
- 사진, 프로그램 : 전상현, 임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