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기반
'점아 점아 콩점아'가 많이 익숙해지긴 하였지만
아직 반박자의 음들이 정확하게 소리 나지 않을 때가 있어
각각의 음들을 하나씩 분명히 소리 내는데 집중해야 하는데
그러다 보면 자칫 힘이 들어가서 가락이 투박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소리 내면서 부드럽게 이어서 불 수 있으려면
음 하나 하나를 제대로 불 수 있도록 취법을 많이 연습해야 합니다.
'고향의 봄'은 아직 악보가 익숙하지 않고
湳 淋 등의 고음이 많이 나와서 취법이 불안정하기에
천천히 느린 속도로 부분 연습을 몇 번씩 해 보았는데
고음이라고 해서 강하게 불면 음색이 탁하고 거칠어지니
최대한 가늘고 날카롭게 불면서도 부드럽게 소리 낼 수 있어야 합니다.
潢㳞湳淋㳞淋~ 을 불 때 㳞, 湳, 淋, 㳞, 淋이 딱딱하게 끊어지지 않고
노래하듯이 쭉 이어서 소리 나도록 연습해 보세요.
84기반
'따오기'는 한 각이 12 박씩 길게 이어져서
한 번에 불지 못 하시고 호흡이 모자랄 때가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빠르게 대충 불면 취법 연습이 안 되니
최대한 숨을 크게 마신 다음 느리게 불면서
여러 음들이 모두 깔끔하게 소리 나도록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충분히 연습하여 대금 소리가 편하게 잘 나게 되면
'혀치기'와 더불어 無과 㴌 음정을 맞출 수 있도록
숙이고 젖혀 부는 취법을 또 연습하는데
중간에 잘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그냥 넘어가지 마시고
몇 번이고 다시 불며 제대로 소리 낼 수 있도록 해야겠지요.
'가을밤'은 짤막한 노래이지만, 박자도 신경을 써야 하는 데다
淋과 㴌의 취법이 꽤 어렵기 때문에 부분 연습을 많이 해 보았습니다.
그나마 가락이 쉬운 첫 째 각은 무난하게 부셨지만
둘째 각과 셋째 각에서 㴌과 淋의 연결이 잘 안 되어
여러 번 다시 불며 취법을 연습해 보았는데
고음은 강하게 부는 것이 아니라 입김이 가늘고 빠르게 나와야 하므로
淋을 불 때는 㴌을 불던 입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입술을 당겨서
입김이 아주 얄팍하고 날카롭게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동호회-저사랑
대금의 순우리말은 '저'입니다. '저사랑'은 대금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대금을 배우고 연주하며, 대금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대금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열려 있습니다.
cafe.daum.net
'대금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금 수업 일지 (0) | 2024.05.12 |
---|---|
대금산조 - 이생강 / 김동표 (0) | 2024.05.11 |
대금 강습 (0) | 2024.05.09 |
홍종진교수님이 회고하는 김성진선생님 (1) | 2024.05.08 |
대금 수업 일지 (0)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