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기반
'오빠 생각'은 선율의 진행에 따라 취법을 조절하는 것도 까다롭지만
처음으로 '혀치기'를 익히기 시작하였기에 따로 연습을 많이 해야 됩니다.
'혀치기'는 같은 음이 반복될 때 각각의 음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법인데
혀를 목구멍 쪽으로 당겼다가 윗니 뒤쪽의 경구개를 치는 것이며
'두'나 '루'를 발음하듯이 움직이면 됩니다.
'혀치기'는 대금에서 제일 먼저 배우는 주법으로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에 며칠 연습하면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지만
이나 입술이 닿아서 '투 투' 하듯이 투박해지거나
자칫 입술이 움직여서 음이 변해도 안 되고
호흡을 끊어 불어도 안 되므로 천천히 정확하게 연습해야 합니다.
84기반
'꽃분네야'는 대금 초심자에게는 꽤 어려운 곡으로
첫소리인 林도 깔끔하게 불어야 하지만
숙여 부는 無의 취법도 만만치 않고
저음에서 고음으로 연결하는 것도 까다로운 데다
취법에 집중하다 보면 박자를 틀릴 수 있기 때문에
한 소절씩 부분 연습을 많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한 각을 수 백 번씩 반복 연습하다 보면 지겨울 수밖에 없지만
앞으로 다른 곡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계속 나오고
차차 더 어려운 가락도 소화할 수 있어야 하므로
잘 안 되는 부분을 대충 넘기지 마시고 충분히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저사랑국악회 =http://cafe.daum.net/daegumlove
'대금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금 소리는 취법에 의해 결정됩니다 (1) | 2024.02.25 |
---|---|
대금 수업 일지 (1) | 2024.02.24 |
대금 수업 일지 (0) | 2024.02.22 |
대금을 잘 불 수 있으려면 기초를 충실히 익혀야 합니다 (0) | 2024.02.21 |
대금 수업 일지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