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기획탑. 2021
1. 상령산 12:20
2. 중령산 10:13
3. 세령산 3:42
4. 가락제지 2:10
5. 삼현환입 3:47
6. 도드리-돌장 8:59
7. 하현환입 3:11
8. 염불환입 4:36
9. 타령 3:15
10. 군악 3:40
11. 계면가락도드리 3:02
12. 양청도드리 2:45
13. 우조가락도드리 2:45 총 63:59
* 거문고: 유수연 / 공연 및 녹음: 2019.10. 8(화) 대구음악창작소 / 해설: 유수연
♬ 음반소개
'가즌(진)회상'은 ‘갖은 영산회상’, 즉 ‘골고루 다 갖추어 연주하는 영산회상'이란 뜻이다. '영산회상'이란 원래는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를 지닌 성악곡이었으나 후대에 전승되어오면서 가사는 없어지고 기악곡 화 된 음악형태이다. 조선 후기의 풍류객들은 '영산회상' 한 바탕을 연주하면서 '보허자'의 변주곡인 '밑도드리'와 '잔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등을 적당한 위치에 삽입하여 보다 규모가 큰 곡을 만들어 연주하였다. 이렇게 확대된 곡을 '가즌회상'이라고 한다.
이 연주는 한국음악학자료총서 권25의 아악부 「현금보」에 수록되어있는 가락에 근거하여 연주하는 '가즌회상'이다.
아악부(1915~1946)는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연주와 보존에 관한 일을 맡았던 음악기관으로 오늘날 국립국악원으로 전승되었다. 현 국립국악원에는 1949년 9월 7일자로 구입한 경종보, 대금보, 필율보, 당적보, 해금보, 아쟁보, 단소보, 현금보, 양금보의 9종의 악보가 보관되어 있다. 이 가운데 현금보의 표지 제명은 「현금보」이며 1930년대의 악보로서, 편자는 미상이다.
연주에 앞서 아악부「현금보」에 수록된 고악보(정간보)를 해독하는데 현행 악보의 가락과 상이한 부분은 모두 스승이신 구윤국 교수(1942.11.13~2019.12.17:국악사양성소2기, 경북대학교 명예교수)께서 많은 도움을 주셨다. 음반을 내는 것에 아직은 부족함이 많지만 교수님의 깊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고 싶은 마음에 용기를 내게 되었다.
♬ 유수연
현재, 대구시립국악단 단원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출강
금율악회 회원(4대회장)
구윤국. 김선한. 이세환 사사
국립국악고등학교 토요연주회 종합우수상(1979.12.28)
전국 육영음악콩쿨 경연대회 대상(1980.9.13)
'음악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반 소개 - 영산회상(靈山會相) / 윤형욱 (0) | 2021.11.23 |
---|---|
청성 자진 한잎 - 유경조선생님 (0) | 2021.11.18 |
음반 소개 - 김문주 / 가야금 평조회상 (0) | 2021.11.08 |
음반 소개 - 竹坡風流 김죽파 전승 민간풍류 (0) | 2021.11.04 |
산운 - 대금/거문고 (0) | 2021.10.31 |